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한·미 관세 협상, 알래스카 LNG 개발 참여 핵심 쟁점 부상

트럼프 대통령과 경제 참모들 한국에 참여 압박, 한국도 협상 지렛대로 활용
한국과 미국 간 관세 협상에서 한국의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프로젝트 참여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사진은 LNG 수송 선박.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과 미국 간 관세 협상에서 한국의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프로젝트 참여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사진은 LNG 수송 선박.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과 한국 간 관세 협상에서 한국의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참여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그의 경제 참모진은 한국에 알래스카 LNG를 우선 구매하고, 추가 개발 프로젝트에 투자하라고 노골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한국 정부 측도 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이를 대미 관세 협상의 지렛대로 이용할 계획이다.
미국은 알래스카 북부의 천연가스를 알래스카 남부 해안가로 나른 뒤 액화해 수출하기 위해 약 1300㎞ 길이 가스관과 액화 터미널 등을 건설하는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스콧 베선 미국 재무장관은 8일(현지 )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 개발 사업이 한국과 일본, 대만과의 관세 협상에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베선 장관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일본, 아마도 한국, 아마도 대만이 제공할 수 있는 알래스카의 대규모 에너지 거래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면서 "일본과 한국, 대만이 많은 가스관과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것은 미국에 많은 일자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기에 그들이 먼저 제안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고, 모든 것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협상에 참여할 것이고, 우리는 무역 파트너들이 무엇을 제안하는지 지켜볼 것"이라며 "그들이 확실한 제안서를 갖고 협상 테이블에 오면 좋은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미 협상차 미국을 방문한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기자들에게 조선 분야와 함께 알래스카 LNG 개발 문제를 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알래스카 LNG 건중요한 부분이고, 이미 한·미 양국 간 협의가 진행되고 있는 조선 분야도 측이 가장 관심을 두는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앞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첫 통화가 끝난 뒤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에서 “방금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과 좋은 통화를 마쳤고, 한국의 관세, 조선, LNG, 알래스카 파이프라인 합작 투자, 한국에 제공하는 대규모 방위 서비스 등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4일 미 국회의사당에서 행한 의회 연설에서 한국이 일본과 함께 알래스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일방적으로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 정부가 알래스카에 세계 최대 규모 중 하나인 거대한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고 있다"며 "일본·한국 다른 나라들이 각각 수조 달러씩 투자하면서 우리의 파트너가 되기를 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일은 아직 없었고, 정말 멋진 일이 될 것이모든 것을 추진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 알래스카산 LNG 수입 또는 개발 참여를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 최종 결정을 하지 않았다.

한국대미 관세 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어 알래스카 LNG 사업에 대한 미국 측의 투자·구매 요구를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추정치만 440억 달러(약 64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뛰어들기보다는 한·미 간 다른 통상·안보 현안 등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한국은 글로벌 LNG 수입 3위 국가다. 한국은 최근 카타르·오만 등과의 장기계약이 종료 수입처를 재조정하고 있다. 알래스카 LNG 사업은 아직 본격 착공 단계에도 이르지 못했고, 실제 물량이 도입될 수 있는 시점은 몇 년이 지나야 한다.

트럼프 정부는 알래스카 지역에서 LNG 석유 생산 관련 규제를 대폭 해제했다.156만 에이커(약 6313㎢) 규모에 이르는 알래스카 야생동물보호구역에서 석유·가스 시추 사업을 허용하는 프로그램도 되살린다. 미 에너지부는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은행 금리보다 낮은 금리로 자금을 빌릴 수 있게 대출 보증을 할 계획이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