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모든 철강 제품 25% 관세 부과할 것"
철강업계 "정해진 내용 없지만, 수출 물량 감소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예고에 국내 철강업계가 현지 생산 시설 확대를 통해 정면 돌파에 나선다. 업계는 관세 부과 발표를 예의 주시하면서도 '현지 생산' 거점 마련으로 트럼프발(發)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다만, 국내 철강 업체들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중국산 저가 공세, 환율 불안 등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철강업계 "정해진 내용 없지만, 수출 물량 감소 우려"
10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철강업계는 트럼프 정부가 예고한 철강 제품 관세 25% 부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용기인 이날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캐나다를 포함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는 이런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정확한 내용이 없다는 것을 언급하면서도 관세가 부과될 경우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발표 내용에) 자세한 내용은 없다. 단순히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뿐"이라며 "그렇지만 관세가 부과될 경우 철강업계에 좋을 것은 없다. 제품 가격은 오르고 물량 또한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통상정책 관련 모니터링을 지속하며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철강업계 관계자는 "관세 25% 부과와 함께 더 우려되는 것은 쿼터제 축소"라며 "현재 국내 철강업계는 268만t 수출 쿼터 안에서 국내 업체들이 물량을 나눠 수출하고 있는데, 이 물량이 적어지는 게 더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렇게 되면 상황은 더 힘들어질 것"이라고 했다.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없지만 실제로 미국이 우리나라 철강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수출 물량 감소다. 미국은 2022년부터 우리나라의 철강 제품 수출국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철강 제품 대미 수출액은 43억4700만 달러로 일본(38억1200만 달러), 중국(33억1300만 달러)보다 크게 앞서 있다.
업계는 미국 현지에 생산시설 확대로 트럼프 관세를 정면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제철은 미국에 첫 제철소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지난달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투자 의사 결정이 나오면 외부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미 현지 생산거점 마련을 위한 다양한 옵션을 두고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부과 예고로 우리나라 철강업체들의 미 현지 진출에 속도가 날 것으로 보고 있다. 민동준 연세대 교수는 "지금처럼 미국이 관세를 더 부과하겠다고 하는 상황에서 포스코·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업체들의 미국 현지 투자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수는 "철강업체들은 미국과 유럽 등 수요가 많은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며 "관세(부과)로 이번 흐름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했다.
김정희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