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예산 사상 첫 60조원 돌파
글로벌 안보 강화 속 가성비·속도 앞세워 흥행 기대
글로벌 안보 강화 속 가성비·속도 앞세워 흥행 기대

1일 관련업계와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내년도 국방예산을 올해보다 3.6% 늘린 61조5878억원으로 편성했다. 정부는 내달 2일 국회에 편성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이번 예산안에서 방산업계의 실적과 연결될 수 있는 방위력개선비가 2.4% 늘어난 18조712억원이 편성됐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한국형 전투기 KF-21 보라매 최초 양산에 1조1495억원을 투입한다. 장사정포 요격 체계 개발, 장거리지대공미사일(L-SAM) 양산 등 북한 미사일 다층 방어 체계 확충 사업에도 올해보다 5.8% 늘어난 6조1615억원을 투입한다.
이 외에도 △K2전차 4차 양산 등 기동화력(3조4066억원) △차세대 이지스구축함 관개도Ⅲ 배치(Batch·유형)Ⅱ, 호위함 울산급 배치 Ⅲ·Ⅳ 건조 등 함정(2조1421억원) △KF-21 양산을 포함한 전체 항공기(3조7388억원) △중거리지대공유도무기 패트리엇 성능개량 등 유도무기(2조9208억원)에 방위력개선비가 투입된다.
국내 방산업계는 정부의 이런 조치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미 수출을 통해 올해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K-방산의 성장세가 꾸준히 이어질 것이란 기대다.
실제 국내 주요 방산기업 4개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 현대로템, LIG넥스원)는 수출 호조에 힘입어 올해 2분기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2분기 방산 빅4의 합산 영업이익은 총 5950억원이다. 상반기로 보면 이들 4개사의 합산 영업이익이 총 7920억원에 달했다.
이런 호실적이 가능했던 것은 해외 수주 성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다. 국내 방산업체는 극강의 가성비와 생산력, 상호 운용성이 큰 장점이다. 매력적인 가격에 충분한 성능을 보장하는 데다 방위력 개선의 핵심 중 하나인 '적시 납품' 능력도 탁월하다. 한국 방위기업이 갖춘 신속한 생산력은 지금과 같은 국제 안보 정세에서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