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 주자 엔비디아의 승승장구가 계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에 이어 각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새로운 ‘핵심 고객’ 및 수익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9일(현지 시각)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아시아와 유럽, 중동 등 세계 각국의 정부가 AI에 대한 지출을 대폭 확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이 엔비디아가 앞으로도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수입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첨단 AI 기술은 IT 산업은 물론, 제조업을 비롯한 기존 산업들의 생산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AI 기술을 군사적으로도 활용하는 움직임이 늘면서 AI는 국가 안보에도 영향을 끼치는 핵심 기술로 떠올랐다.
이에 WSJ은 세계 각국 정부가 자국어로 작동하는 첨단 생성형 AI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 학습을 위해 새로운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구형 데이터센터를 업그레이드하고 있으며, 이에 엔비디아 칩을 사용하기 위한 예산을 늘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점차 고조되면서 각종 첨단 기술 분야에서 특정 국가나 기업에 의존하지 않으려는 전략적인 자립 행보가 각국의 AI 개발을 부추기고 있다고 WSJ은 지적했다.
대표적으로 싱가포르는 국립 슈퍼컴퓨팅 센터를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국영 통신사인 싱텔도 엔비디아와 손잡고 동남아시아 데이터센터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캐나다도 최근 자국 AI 스타트업과 개발자들을 위한 국가 컴퓨팅 전략의 일부로 15억 달러(약 2조원) 투자 계획을 밝혔으며, 일본 역시 자국의 AI 컴퓨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약 7억4000만 달러(약 1조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포함한 유럽의 통신회사들도 자체 LLM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 칩을 기반으로 하는 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하고 있으며, 케냐도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MS) 및 아랍에미리트의 국영 AI 기업 G42와 10억 달러(약 1조4000억원) 규모의 LLM 개발용 데이터센터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도 최근 몇 달 사이 각국 정부 지도자들을 잇달아 만나면서 AI와 국가 컴퓨팅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독려하고 있다고 WSJ은 지적했다.
미 증권가에서도 향후 MS와 아마존, 알파벳 구글 등 빅테크 기업들의 AI 칩 구매 수요가 감소할 경우, 각국 정부의 자체 AI 구축 수요가 엔비디아의 새로운 수익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안젤로 지노 CFRA리서치 애널리스트는 “거대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에 대한 엔비디아의 매출 증가 궤적은 분명 지속되기 어렵다”라며 “소버린 AI(국가 AI 역량)는 더 높은 수익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엔비디아의 새로운 지렛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