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주식시장이 연간 가장 성적이 좋은 4월을 맞아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1일(현지시간)에 이어 뉴욕 주식시장 3대 지수는 4일에도 거래일 기준으로 이틀 내리 오름세를 이어갔다.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오후장까지 오르내림을 반복했지만 결국 상승 흐름을 굳혀 1일 종가 대비 103.61 포인트(0.30%) 오른 3만4921.88로 마감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지수는 36.78 포인트(0.81%) 상승한 4582.64로 장을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2% 가까이 급등했다.
271.05 포인트(1.90%) 급등한 1만4532.66로 올라섰다.
'월가 공포지수'라른 별명이 있는 변동성지수(VIX)는 소폭 하락했다.
VIX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1.10 포인트(5.60%) 내린 18.53으로 낮아졌다.
3대 지수 모두 상승했지만 업종별로는 오른 업종보다 내린 업종이 더 많았다.
국제유가가 다시 배럴당 100 달러를 돌파하는 강세를 보인데다 국채 수익률, 상품가격 모두 상승세를 탄 것이 업종별로 희비를 갈랐다.
CNBC에 따르면 S&P500 지수 구성 11개 업종 가운데 오른 업종은 단 4개다.
기술 업종이 1.91%, 통신서비스 업종이 2.28% 상승했다.
또 재량적 소비재 업종은 2.33% 급등해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에너지 업종은 0.07% 상승하며 강보합세를 기록했다.
나머지 7개 업종은 다 떨어졌다.
필수 소비재는 0.32% 하락했고, 금융 업종 역시 국채 수익률 오름세에도 불구하고 0.48% 밀렸다.
보건 업종은 0.75%, 부동산 업종은 0.31% 떨어졌고, 유틸리티도 0.79% 하락했다.
산업과 소재 업종은 각각 0.18%, 0.04%로 낙폭이 크지 않았다.
이날 주식시장의 스타는 소셜미디어 업체 트위터였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지분 9.2%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주가가 폭등했다.
정규 거래가 시작되기도 전부터 25% 폭등한 트위터는 오전 초반 상승폭이 일부 좁혀지기도 했지만 곧바로 급등세로 돌아서 결국 지난 주말보다 10.66 달러(27.12%) 폭등한 49.97 달러로 장을 마쳤다. 장중 51.37 달러까지 치솟기도 했다.
트위터는 덕분에 올들어 15.4% 상승률을 기록했다. 연초 이후 기술주 상당수가 마이너스(-) 주가 흐름을 보이는 것과 대조적이다.
테슬라 주가도 5% 넘게 급등했다.
2일 발표에서 테슬라의 1분기 전기차 출하규모가 31만대를 넘은 것으로 확인된 것이 주가 급등을 불렀다.
이날 포드가 반도체 부족으로 자동차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바람에 매출이 1분기 17%. 지난달에만 26% 급감했다고 발표한 것과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부품 공급난을 슬기롭게 헤쳐나가며 탄탄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 테슬라는 1일 종가보다 60.86 달러(5.61%) 급등한 1145.45 달러로 마감했다. 올 전체로는 상승폭을 8.39%로 확대했다.
반면 포드는 0.01 달러(0.06%) 오른 16.66 달러로 강보합하는데 만족해야 했다. 올 전체로는 19.79% 하락한 수준이다.
스타벅스 주가는 4% 가까이 하락했다.
스타벅스 회장 겸 CEO를 두 차례나 지내며 반석 위에 올려놨던 경영인 하워드 슐츠가 다시 CEO로 컴백하기로 결정되면서 상승세를 타던 주가가 돌아섰다.
스타벅스 노조 출범이 확산되고 있는데다 슐츠가 자사주 매입을 중단하겠다고 밝힌 것이 주가 급락을 불렀다.
3.40 달러(3.72%) 하락한 88.09 달러로 마감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