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AI가 생성형을 넘어 스스로 추론하는 에이전틱 AI, 물리적 현실에서 행동하는 피지컬 AI로 진화하며 데이터센터가 'AI 팩토리'로 변모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등 주요 클라우드 기업의 역대급 투자(2660억달러, S&P 500 전체의 21.2%)가 이어지면서 냉각·전력·초고속 네트워킹 기술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했다. 본 기획 시리즈는 '네오 클라우드 시대'로 불리는 AI 인프라 시장의 구조적 전환을 심층 분석한다. KB증권 리포트를 참고하고 AI 기술로 분석·정리했으며, 네오 클라우드 운영 기업과 인프라 최적화 수혜주, 관련 ETF를 제시한다.
제1편: AI 2.0 시대 개막, '네오 클라우드'가 주도한다
제2편: [네오 클라우드 기업 ①] 엔비디아 GPU 확보 전쟁 승자들
제3편: [네오 클라우드 기업 ②] 친환경과 인프라 확장으로 무장
제4편: [AI 2.0 인프라 ①] 초고속 데이터 연결의 핵심, 인터커넥트 기업들
제5편: [AI 2.0 인프라 ②] GPU 가속을 위한 메모리, 냉각, 서버 기술
제6편: [AI 2.0 인프라 ③] 전력 대란 해법, SMR 기업의 부상
제7편: 고성장 네오 클라우드, 투자 전략과 유망 ETF는?
■ 제4편: [AI 2.0 인프라] 초고속 데이터 연결의 핵심, 인터커넥트 기업들
서버 간 데이터 트래픽이 성능 좌우
AI 데이터센터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는 CPU 성능이 아니라 서버 간 데이터 트래픽을 얼마나 원활하게 처리하는지에 달려 있다. 이에 따라 NVLink와 UALink 같은 차세대 인터커넥트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는 아스테라 랩, 크레도 테크놀로지, 아리스타 네트워크, 암페놀 같은 인프라 최적화 기업들이 수혜를 보고 있다.
아스테라 랩, PCIe 신호 거리 3배 확장
아스테라 랩(Astera Labs Inc., ALAB US)은 데이터센터와 AI 클러스터를 대상으로 PCIe/CXL 기반 리타이머(Aries), 이더넷 케이블 모듈(Taurus), 스위치(Scorpio) 등 스케일 업·아웃 네트워킹 지원 솔루션을 제공한다. 리타이머(Aries)는 고속 PCIe/CXL 링크의 신호 무결성을 보장하고 연결 거리를 최대 3배까지 확장하는 핵심 역할을 한다.
아스테라 랩은 개방형 표준 기반 AI 랙 스케일 플랫폼 확산에 집중하며, 특히 UALink 스케일업 연결 표준이 2027년 이후 장기적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PCIe 6를 지원하는 Scorpio 패브릭 스위치와 Aries 6 리타이머를 양산 중이며, 랙 스케일 AI 인프라 시장이 2030년까지 약 5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아리스타, 개방형 이더넷으로 승부
아리스타 네트워크(Arista Networks Inc., ANET US)는 클라우드 네트워킹 솔루션 기업으로, 고성능 이더넷 스위치, 라우터, 네트워크 운영체제(EOS)를 제공한다. 아리스타는 AI 데이터센터의 백엔드 네트워크가 엔비디아의 독점적인 NVLink 방식에서 향후 이더넷이나 UALink와 같은 개방형 표준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하며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아리스타는 네트워크 성능 저하와 병목 현상이 GPU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점을 지적하며, 고성능 이더넷 네트워킹을 통해 GPU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2025년 AI 네트워킹 총 매출이 15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한다.
크레도, 링크 플랩 제거로 비용 절감
크레도 테크놀로지(Credo Technology, CRDO US)는 고속 데이터 인프라 연결 솔루션을 제공하며, 특히 서버 간 고속 데이터 전송 케이블인 HiWire 액티브 전기 케이블(AEC)이 주요 매출원이다. AEC는 광케이블(AOC) 대비 최대 50% 낮은 전력 소비로 운영 비용을 절감하며, 간헐적인 연결 끊김을 유발하는 링크 플랩 현상을 사실상 없애 클러스터의 안정성을 높인다.
크레도는 AEC 기술이 50개 이상의 기업이 컨소시엄에 가입하며 표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800G HiWire ZeroFlap AEC는 고성능 GPU 클러스터에서 링크 플랩을 제거해 AI 학습 중단을 최소화하고, GPU당 최대 1000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암페놀, 액체 냉각 커넥터 출시
암페놀(Amphenol Corp., APH US)은 데이터센터 및 IT 데이터통신 시장(2024년 매출의 약 24% 차지)에 전자 연결 솔루션을 공급하는 글로벌 커넥터·케이블 제조 기업이다.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액체 냉각 커넥터(UQD, UQDB) 등 고신뢰성 열 관리를 위한 신제품을 출시했다. 이 제품들은 OCP(Open Compute Project) 표준을 준수하며, AI 데이터센터의 고신뢰 열 관리에 활용된다.
※ 본 기획 시리즈는 KB증권의 "[네오 클라우드] AI 2.0 인프라 시대 개막, 수혜주/ETF 제시" 리포트를 참고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방대한 자료를 분석·정리했습니다.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이며, 본 콘텐츠는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