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AI가 생성형을 넘어 스스로 추론하는 에이전틱 AI, 물리적 현실에서 행동하는 피지컬 AI로 진화하며 데이터센터가 'AI 팩토리'로 변모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등 주요 클라우드 기업의 역대급 투자(2660억달러, S&P 500 전체의 21.2%)가 이어지면서 냉각·전력·초고속 네트워킹 기술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했다. 본 기획 시리즈는 '네오 클라우드 시대'로 불리는 AI 인프라 시장의 구조적 전환을 심층 분석한다. KB증권 리포트를 참고하고 AI 기술로 분석·정리했으며, 네오 클라우드 운영 기업과 인프라 최적화 수혜주, 관련 ETF를 제시한다.
제1편: AI 2.0 시대 개막, '네오 클라우드'가 주도한다
제2편: [네오 클라우드 기업 ①] 엔비디아 GPU 확보 전쟁 승자들
제3편: [네오 클라우드 기업 ②] 친환경과 인프라 확장으로 무장
제4편: [AI 2.0 인프라 ①] 초고속 데이터 연결의 핵심, 인터커넥트 기업들
제5편: [AI 2.0 인프라 ②] GPU 가속을 위한 메모리, 냉각, 서버 기술
제6편: [AI 2.0 인프라 ③] 전력 대란 해법, SMR 기업의 부상
제7편: 고성장 네오 클라우드, 투자 전략과 유망 ETF는?
■제3편: [네오 클라우드 기업 ②] 친환경과 인프라 확장으로 무장
코인 채굴 노하우가 AI 경쟁력으로
기존 코인 채굴 기업이었던 아이렌과 어플라이드 디지털이 축적된 전력 운용·냉각 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AI 데이터센터 시장의 새로운 플레이어로 부상하고 있다. 엔비디아 파트너십과 장기 계약을 통해 고성능 GPU 인프라를 확보하며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중이다.
아이렌, 100% 수력발전 기반 AI 클라우드
아이렌(IREN Ltd., IREN US)은 100% 수력발전 등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해 비트코인 채굴 인프라를 운영해왔으며, 이를 기반으로 AI 클라우드 및 HPC 솔루션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비트코인 채굴 인프라(총 810MW 규모)를 AI 인프라 기업으로 전환하는 핵심 축인 호라이즌 1(2025년 하반기 가동 목표, 50MW)과 Sweetwater 프로젝트(10억달러 AI 인프라 투자 기반 확대)를 추진 중이다.
아이렌은 엔비디아와의 계약을 통해 우선 협력사(Preferred Partner) 지위를 획득했다. 이를 바탕으로 총 2400대의 액체냉각형 GB300 GPU 및 B300 GPU 도입 계약을 체결했으며, 2025년 3월 31일 기준으로 H100과 H200 GPU 1896개로 연간 2600만달러의 AI 클라우드 매출을 창출하고 있다.
어플라이드 디지털, 15년 계약에 110억달러
어플라이드 디지털(Applied Digital Corp., APLD US)은 북미 지역에서 차세대 디지털 인프라를 설계·개발·운영하는 기업이다. AI 및 HPC 산업에 특화된 디지털 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하며, 특히 엔비디아가 어플라이드 디지털의 지분 약 3%를 확보하며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어플라이드 디지털은 노스다코타주 엘렌데일 캠퍼스에 AI·HPC 전용 데이터센터(최대 1GW 확장 설계)를 건설 중이며, 코어위브와 약 15년 기간의 장기 리스 계약 2건을 체결했다. 코어위브가 추가 150MW 옵션을 행사함에 따라 총 임대 용량은 400MW로 확대될 예정이며, 전체 15년 계약 매출은 약 110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엘렌데일 캠퍼스에 건설 중인 HPC 시설은 독자적인 폐회로 Direct-to-Chip 수랭 설계를 활용하며, 예상 PUE(전력 효율 지표)는 1.18을 목표로 한다. 회사는 이 독자적 설계와 입지적 이점을 통해 고객이 다른 지역 대비 30년 동안 최대 27억달러를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본 기획 시리즈는 KB증권의 "[네오 클라우드] AI 2.0 인프라 시대 개막, 수혜주/ETF 제시" 리포트를 참고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방대한 자료를 분석·정리했습니다.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이며, 본 콘텐츠는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