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해외주식 집중분석 제2편] 네오 클라우드 기업 ①...엔비디아 GPU 확보 전쟁 승자들


[편집자 주] AI가 생성형을 넘어 스스로 추론하는 에이전틱 AI, 물리적 현실에서 행동하는 피지컬 AI로 진화하며 데이터센터가 'AI 팩토리'로 변모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등 주요 클라우드 기업의 역대급 투자(2660억달러, S&P 500 전체의 21.2%)가 이어지면서 냉각·전력·초고속 네트워킹 기술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했다. 본 기획 시리즈는 '네오 클라우드 시대'로 불리는 AI 인프라 시장의 구조적 전환을 심층 분석한다. KB증권 리포트를 참고하고 AI 기술로 분석·정리했으며, 네오 클라우드 운영 기업과 인프라 최적화 수혜주, 관련 ETF를 제시한다.

제1편: AI 2.0 시대 개막, '네오 클라우드'가 주도한다
제2편: [네오 클라우드 기업 ①] 엔비디아 GPU 확보 전쟁 승자들
제3편: [네오 클라우드 기업 ②] 친환경과 인프라 확장으로 무장
제4편: [AI 2.0 인프라 ①] 초고속 데이터 연결의 핵심, 인터커넥트 기업들
제5편: [AI 2.0 인프라 ②] GPU 가속을 위한 메모리, 냉각, 서버 기술
제6편: [AI 2.0 인프라 ③] 전력 대란 해법, SMR 기업의 부상
제7편: 고성장 네오 클라우드, 투자 전략과 유망 ETF는?

■네오 클라우드 기업 ①...엔비디아 GPU 확보 전쟁 승자들

블랙웰 GPU 선점이 승부처

엔비디아 최신 GPU 확보 경쟁에서 코어위브와 네비우스가 앞서나가고 있다. 이들 네오 클라우드 운영 기업은 기존 하이퍼스케일러와 달리 GPU 중심의 AI 인프라와 가격 경쟁력을 내세우며 빠르게 부상 중이다. 엔비디아의 전략적 투자와 지원을 받아 블랙웰 GPU와 같은 최신 고성능 칩을 선제 확보하는 것이 기술 우위를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다.

코어위브, GPU 25만개 운영 중

코어위브(CoreWeave Inc., CRWV US)는 2017년 이더리움 채굴 기업으로 시작했으나, 2019년 GPU 자원을 AI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전환하며 네오 클라우드 기업으로 성장했다. 하이퍼스케일러와 달리 GPU 기반 특화형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며, 자체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을 통해 GPU 자원을 최적화하는 것이 강점이다.

코어위브는 현재 엔비디아의 GB200 NVL72 및 HGX B200 등 고성능 GPU를 중심으로 인프라를 확장하며, 약 25만개의 GPU를 운영 중이다. 자사 GPU 클러스터 성능이 다른 솔루션 대비 최대 20% 더 높다고 주장하며, AI 워크로드 특화형 클라우드로서의 경쟁력을 강조한다.

클라우드 제공 방식은 독점 임대(Bare Metal)와 다수 고객 공유(Multi Tenancy)로 나뉘는데, 코어위브는 자체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해 자원 분배와 스케줄링을 최적화해 가동률과 마진을 극대화하고 있다.

네비우스, 블랙웰 GPU 2만2000개 배치

네비우스 그룹(Nebius Group N.V., NBIS US)은 암스테르담에 본사를 둔 유럽 기반 AI 인프라 전문 기업이다. 2024년 얀덱스(Yandex)의 러시아 외 사업 부문이 분리돼 설립됐으며, AI 학습·추론 최적화 클라우드와 액체 냉각 기반 데이터센터 운영이 주요 서비스다.

네비우스는 2024년 12월 엔비디아와 액셀 파트너스 등으로부터 7억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며 주목받았다. 특히 같은 달 2만2000개 이상의 엔비디아 블랙웰 GPU 배치 계획을 발표하는 등 AI 인프라 투자를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과거 러시아 사업 매각으로 확보한 현금(2분기 현금 보유액 16억8000만달러)을 바탕으로, 2분기에만 데이터센터 확장을 위해 5억1000만달러를 CAPEX로 집행했다.

네비우스는 핀란드, 프랑스, 미국(캔자스시티, 뉴저지), 아이슬란드 등에 데이터센터를 운영·건설 중이며, 액체 냉각 설계와 엔비디아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기존 하이퍼스케일러 대비 20~25% 낮은 GPU 소유비용을 달성하며 효율성을 강조한다.

※ 본 기획 시리즈는 KB증권의 "[네오 클라우드] AI 2.0 인프라 시대 개막, 수혜주/ETF 제시" 리포트를 참고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방대한 자료를 분석·정리했습니다.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이며, 본 콘텐츠는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