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해외주식 집중분석 제1편] AI 2.0 시대 개막, '네오 클라우드'가 주도한다


[편집자 주] AI가 생성형을 넘어 스스로 추론하는 에이전틱 AI, 물리적 현실에서 행동하는 피지컬 AI로 진화하며 데이터센터가 'AI 팩토리'로 변모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등 주요 클라우드 기업의 역대급 투자(2660억달러, S&P 500 전체의 21.2%)가 이어지면서 냉각·전력·초고속 네트워킹 기술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했다. 본 기획 시리즈는 '네오 클라우드 시대'로 불리는 AI 인프라 시장의 구조적 전환을 심층 분석한다. KB증권 리포트를 참고하고 AI 기술로 분석·정리했으며, 네오 클라우드 운영 기업과 인프라 최적화 수혜주, 관련 ETF를 제시한다.

제1편: AI 2.0 시대 개막, '네오 클라우드'가 주도한다
제2편: [네오 클라우드 기업 ①] 엔비디아 GPU 확보 전쟁 승자들
제3편: [네오 클라우드 기업 ②] 친환경과 인프라 확장으로 무장
제4편: [AI 2.0 인프라 ①] 초고속 데이터 연결의 핵심, 인터커넥트 기업들
제5편: [AI 2.0 인프라 ②] GPU 가속을 위한 메모리, 냉각, 서버 기술
제6편: [AI 2.0 인프라 ③] 전력 대란 해법, SMR 기업의 부상
제7편: 고성장 네오 클라우드, 투자 전략과 유망 ETF는?

■ 제1편: AI 2.0 시대 개막, '네오 클라우드'가 주도한다.


엔비디아 "컴퓨팅 사용량 150배 증가" 전망

AI 추론 능력이 데이터센터 수요를 폭발시키고 있다. 스스로 질문을 생각하고 분석하는 에이전틱 AI는 기존 생성형 AI 대비 토큰 생성량을 20배(최대 77배)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엔비디아는 이로 인해 컴퓨팅 사용량이 약 150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데이터센터가 단순 저장 공간에서 '토큰을 생성하는 AI 팩토리'로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CSP, S&P 500 투자의 21% 독식

주요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업체(CSP)의 데이터센터 자본투자(CAPEX)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오라클의 지난 1년 누적 CAPEX(2025년 2분기 기준)는 약 2660억달러로 S&P 500 전체 CAPEX의 21.2%를 차지한다. 이는 ChatGPT 출시 시점인 2022년(13%) 대비 8.1%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자체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메타의 CAPEX(521억달러)를 포함하면 비중은 25.3%까지 늘어난다.

이러한 막대한 자본 투입은 고성능 AI 데이터센터(네오 클라우드)와 이를 최적화하는 기술 기업들의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엔비디아 독점 깨는 UALink 등장
엔비디아의 독자적 GPU 연결 기술인 NVLink에 맞서 개방형 표준화 기술인 UALink가 등장했다. 인텔, AMD, 브로드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참여하는 UALink(Ultra Accelerator Link)는 AI 가속기 간 통신을 표준화해 엔비디아 GPU 외 다른 AI 전용 칩 수요를 끌어올리고 있다. UALink는 최대 1024개의 가속기를 하나의 팟(Pod)에 연결 가능하도록 설계돼, 대규모 AI 모델 학습 시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네오 클라우드 밸류체인 수혜 기업

네오 클라우드 시대로의 전환은 GPU 가속, 전력·냉각, 데이터 연결, 서버 랙, 고대역폭 메모리, 저장장치 등 다양한 인프라 기술의 수요를 높인다.

자료=KB증권이미지 확대보기
자료=KB증권


※ 본 기획 시리즈는 KB증권의 "[네오 클라우드] AI 2.0 인프라 시대 개막, 수혜주/ETF 제시" 리포트를 참고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방대한 자료를 분석·정리했습니다.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이며, 본 콘텐츠는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