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애플·구글 등 관세 충격 후 급락...서학개미 집중 매수 '물타기'
관세 충격 전으로 주가 반등 성공...불확실성 여전해 레버리지 투자 주의 필요
관세 충격 전으로 주가 반등 성공...불확실성 여전해 레버리지 투자 주의 필요

1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언급으로 주가가 급락한 지난달 7일부터 지난 15일까지 서학개미는 25억6659만 달러(약 3조5719억원)를 사들였다.
특히 테슬라 4억1547만 달러(5782억원)에 이어 애플과 알파벳도 각각 2억7286만 달러(3797억원), 1억3161만 달러(1831억원) 사들였다.
서학개미들은 지난달 7일 주가 급락 후 저가매수에 나선 모양새다.
이와 관련 서학개미 종목 게시판에는 손실 글에 "물 타서 평단가를 낮춰라", "버티면 본전 온다" 등의 글이 올라와 있다.
실제로 서학개미가 사들인 종목들은 지난 7~8일 바닥을 찍고 반등에 성공했다.
테슬라는 지난달 7일(현지시간) 장중 214.25달러까지 떨어졌지만 지난 15일에는 342.82달러로 60%나 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언급 전인 지난달 1일 종가(268.46달러)보다도 27.7% 더 높다.
애플도 지난 1일 223.19달러에서 지난달 8일 장중 169.21달러까지 하락했다. 이후 반등에 성공하면서 지난 15일 211.45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아직 관세 부과 전 주가는 회복하지 못했지만 저가 대비 24.96% 상승했다.
알파벳 역시 지난달 7일 140.53달러까지 빠졌지만 지난 15일에는 163.96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달 1일 종가(157.07달러)보다 4.39%, 관세 이후 저가보다 16.67% 올랐다.
주가가 관세 부과 이전 수준을 넘어서면서 물 탄 개미들은 본전은 회복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관세 이전으로 주가가 회복된 것으로 연초와 비교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
연초 대비 테슬라 주가는 -15.11%, 애플은 -15.56% 상태다. 알파벳 역시 -13.39%를 기록 중이다.
증권가에서는 물타기를 통해 저점을 낮추는 전략은 유효하다면서도 미국의 관세 유예 기간이 90일로 제한돼 있고 무역 분쟁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만큼 레버리지 투자는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서학개미가 관세 충격 이후 급락한 종목을 대거 사들인 것은 추가 매수를 통해 평단가를 낮추기 위한 작업으로 보인다"며 "주가가 오르면서 일정 부분 손실이 완화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성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ava0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