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우리는 영향 안받아"...관세 우려에도 잘나가는 식품주

올들어 식품주 주가 등락률. 그래프=김성용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올들어 식품주 주가 등락률. 그래프=김성용 기자
미국 관세 충격으로 글로벌 경제 수요 둔화 우려가 커졌지만 경기 방어주인 꼽히는 식품주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제품 가격 인상과 원가구조 개선 등이 맞물려 실적 상승 기대감에 최근 삼양식품이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우기도 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양식품의 주가는 올해들어 지난 26일까지 13.99%(10만7000원) 올라 87만2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 24일 장중 95만80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우기도 했다.

이에따라 올해 삼양식품은 황제주(주당100만원)에 등극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같은 기간 SPC삼립(19.48%), 오리온(13.57%), 농심(8.29%), 동원F&B(6.76%), 해태제과식품(5.83%), 오뚜기(3.79%), 매일유업(3.74%), CJ제일제당(0.78%) 등 그 외 식음료주도 줄줄이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같은 상승세는 필수 소비재로 꼽히는 음식료는 경기 흐름에 덜 민감한 만큼 투자 자금이 몰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금융투자업계에선 과거에는 K-푸드가 미국 시장에서 교민 중심의 한인 시장을 공략하는 것에 그쳤다면 이제는 제품 품질과 브랜드 인지도와 건강·비건 트렌드까지 아우르며 미국 주류 시장 안으로 본격 진입했고, K-푸드의 글로벌 경쟁력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식품주의 상승 랠리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올해 초 농심, 오뚜기, 삼양식품, SPC삼립의 가격 인상과 오리온, 해태제과 등의 가격 상향 조정 계획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한국투자증권을 비롯한 8개 증권사는 오리온의 목표주가를 올린 바 있다.
정한솔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오리온에 대해 “"3월부터 가격 인상 효과가 본격화하고 해외 가격 인상 가능성도 있다"며 목표주가를 13만원에서 14만원으로 올렸다.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유진투자증권 등 8개 증권사가 오리온 목표주가를 14~15만원으로 올렸다.

라면 시장 1위 농심도 지난 3월 17일 신라면, 너구리, 짜파게티 등 17개 브랜드 출고가를 평균 7.2% 올렸다. 오뚜기도 카레, 짜장 등 소스류 가격을 올리고, 원재료 가격 안정화에 따른 스프레드(제품과 원재료 가격 차이) 확대도 주가에 긍정적 요인이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거래되는 밀가루 가격은 최근 한 달 6% 안팎 떨어졌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이 급물살을 타면 밀가루 가격은 더 안정될 가능성이 높다. 직접적인 수혜주로는 사조동아원, 대한제분, CJ제일제당 등이 꼽힌다.

실적 대비 주가 수준 매력이 클 뿐더러, 농심, 삼양식품, SPC삼립 등의 공장 증설과 오리온, 삼립 등 제품 라인 확대도 주가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최성환 리서치알음 대표는 "국제 곡물가격과 제품가격 스프레드 확대로 실적개선 지속 예상된다"며 "업계의 어닝 서프라이즈가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김성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0328syu@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