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전 세계적으로 벌어진 반(反)테슬라 시위를 놓고 주동자에 대한 체포와 법적 대응을 예고하며 강경 대응에 나섰다.
미 연방수사국(FBI)도 반테슬라 시위를 둘러싼 폭력 사태와 관련해 전담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수사에 착수했다.
31일(이하 현지시각) 뉴스위크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전날 약 200곳의 테슬라 매장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벌어진 '테슬라 급습' 시위와 관련해 "주동자들과 자금을 댄 인물들을 찾아내 처벌할 것"이라고 밝혔다.
머스크는 X에 올라온 반테슬라 시위 영상을 공유하며 “폭력을 멈추려면 조종당하는 하수인들을 체포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이들을 조종하고 자금을 지원한 배후를 구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시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신설한 정부효율부를 통해 머스크가 주도해온 정부예산 삭감에 반대하는 목적으로 기획됐다. 정부효율부는 미국국제개발처(USAID) 등 주요 연방기관의 예산을 대폭 축소한 바 있다.
시위대는 캘리포니아 패서디나와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한 미국 주요 도시뿐 아니라 런던 등 해외 테슬라 매장 앞에서도 항의 시위를 벌였다. 일부 시위대는 ‘메디케이드 삭감으로 사망’, ‘정부효율부가 만든 죽음’ 등 문구가 적힌 종이 묘비를 들고 거리 퍼포먼스를 펼쳤다.
이에 대해 머스크는 “메디케이드나 사회보장제도(사회보장, 메디케어)에 대한 예산 삭감은 없다. 사기를 줄이는 것이 곧 삭감이라면 그렇게 볼 수 있다”며 “누군가의 죽음을 요구하는 캠페인을 조직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반박했다.
시위 과정에서 테슬라 차량에 낙서하거나 방화로 이어진 사건도 일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FBI는 “모든 사건은 야간에 소규모 단독범행으로 이뤄졌으며, 단순한 재산범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심각한 범죄”라고 지난주 경고했다.
팸 본디 미 법무부 장관은 지난 18일 성명을 통해 “테슬라를 겨냥한 일련의 폭력 사태는 국내 테러 행위”라며 “이미 일부 가해자에게는 5년형이 적용되는 중범죄 혐의가 적용됐으며 자금과 지시를 제공한 배후 세력에 대해서도 강력히 수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