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수요자 내 집 마련은 점점 더 어려워져
이미지 확대보기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부동산 대책이 단기적 집값 안정에는 기여할 수 있으나, 청년과 실수요자 중심의 내 집 마련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16일 국토부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서울 자가 가구의 주택가격 대비 소득 배수(PIR)는 중간값 기준 13.9배로 나타났다. 이는 월급을 저축만으로 집을 마련하려는 경우 약 14년이 걸린다는 뜻이다. 세종(8.2배), 경기(6.9배), 대구(6.7배), 인천(6.6배) 등이 뒤를 이었다.
수도권과 도 지역의 PIR은 전년 대비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광역시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국 임차 가구의 월 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중(RIR)은 15.8%로 전년과 동일했다. 수도권, 광역시, 도 지역 모두 임대료 부담은 다소 완화됐으나 여전히 높은 편이다.
청년 가구의 경우 82.6%가 임차 생활을 하고 있으며, 비주거형 주택 비중도 17.9%에 달해 내 집 마련 부담이 크다.
전국 자가 보유율은 61.4%로 소폭 상승했으나, 이를 가진 가구도 집값 상승으로 실질적 부담을 겪고 있다.
가구주가 독립 후 첫 집 마련까지 걸리는 기간도 7.9년으로 늘어나고, 가구당 평균 주거 면적은 소폭 감소하는 등 주거 여건은 녹록지 않다.
정부는 10·15 부동산 대책 등 규제를 통해 주택담보대출(LTV) 한도 축소, 다주택자 대출 제한 등을 시행 중이다.
이에 따라 집값보다 대출 금리가 크게 올라 신규 주택 구입에 필요한 자금 마련이 더욱 힘들어지고 있으며, 은행 대출 금리가 6%대에 이르는 등 조달 비용도 상승했다.
대출 총량 제한과 DSR 규제 강화 등으로 청년·실수요자의 대출 문턱은 한층 높아졌다.
전체 가구 중 ‘주택을 보유해야 한다’는 응답은 86.8%로 여전히 높지만,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주거 지원 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38.2%로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주택 구입자금 대출 지원’(32.0%)과 ‘전세자금 대출 지원’(27.8%) 등 금융 지원책에 대한 기대는 여전하다.
임광복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c@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