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한국수력원자력, 요르단에 혁신형 SMR 타당성 조사 추진

SMR관련 포괄적인 기술교류와 정보교환 ‘맞손’
요르단 전력수요 대비 SMR 도입 적극 검토
한수원, 우선협상자 선정 목표 입찰 준비
황주호(왼쪽) 한수원 사장이 지난 3일(현지시각)이 칼레드 토칸(오른쪽) 요르단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과 혁신형 SMR 배치를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 체결하고 있다. 사진=한국수력원자력이미지 확대보기
황주호(왼쪽) 한수원 사장이 지난 3일(현지시각)이 칼레드 토칸(오른쪽) 요르단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과 혁신형 SMR 배치를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 체결하고 있다. 사진=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요르단 원자력 위원회(JAEC)와 한국이 현재 개발하고 있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에 대한 포괄적인 기술교류와 정보교환에 상호협력하고, 타당성 조사를 공동수행한다.
한수원은 3일(현지시간)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부속건물에서 JAEC와 혁신형 SMR 배치를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JAEC는 원자력을 활용한 전기 생산과 담수화를 목표로 설립된 총리 직속 기구로 신규 원전사업 추진 주체다.

한수원은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JAEC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해외 SMR 사업진출에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한국과 지난 2017년 JAEC가 발주한 연구용원자로 건설과 시운전을 한국원자력연구원과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수행한 적이 있다. 이번 혁신형 SMR 배치 상호협력은 원자력 분야 두 번째 사업이다.

요르단은 현재 천연가스를 중심으로 신재생, 셰일오일 등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늘어나는 전력수요에 대비해 오는 2030년 이후 SMR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에 해외 유력 SMR 개발사들과 기술평가와 노형 검토를 진행하며 2024년 이후 우선협상자 선정을 목표로 입찰을 준비하고 있다.

한편, 한수원은 제28차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혁신형 SMR 기술과 SMR 스마트 넷제로시티 모델 등 획기적인 탄소중립 해법을 선보였다.
전기출력 170MWe급 일체형 가압경수로형 원전인 혁신형 SMR은 개발 로드맵에 따라 2025년말 표준설계 완료, 2028년 표준설계인허가 획득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칼레드 토칸 요르단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한수원과 공동협력을 통해 요르단 전력 생산과 담수화를 위한 혁신형 SMR 배치 가능성과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연구용 원자로 건설로 맺어진 한국과 요르단의 협력 관계가 혁신형 SMR 건설까지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