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조선업 경쟁력은 정보기술(IT)과의 융합에서 나온다. IT를 이용해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한편 정확한 납기 예측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발주국에서 원하는 함정을 제때 공급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미국이 선박을 설계하면 한국 조선소에서 선체를 제작하고 MRO(유지·보수·정비)까지 책임질 수 있는 구조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이 한국과 조선업 협력을 거론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미 의회의 해양전략지침 보고서를 보면 세계 무역의 80%를 담당하는 미국 국적 선대는 200척 정도다. 7000척 이상으로 이루어진 중국 국적 선대와 현격한 차이가 난다.
지난해 수주한 선박만 봐도 중국은 1700척인 데 반해 미국은 겨우 5척에 불과하다. 미국 조선소 인력은 15만3000명으로 중국의 60만 명과는 비교할 수 없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80여 개에 달했던 미국 대형 조선소 중 20개만 남아있을 정도다.
반도체 지원법처럼 미국에서 원양 선박을 건조하고 수리할 수 있도록 투자세액 공제 등 인센티브 정책이 절실하다. 남극과 북극에서의 경쟁에 대응하려면 조선산업 투자 유치도 필수적이다.
미국에서 해군함정 건조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도 이와 무관치 않다. 미국 존스법에 따라 해외 건조를 제한 중인 함정 건조도 예외적으로 인정할 수밖에 없다.
한화오션의 경우 최근 미 해군 7함대 급유함 ‘유콘’ 등 2척의 정기 수리를 수주한 상태다. HD현대중공업도 필리핀에 군수지원센터를 설립하고 MRO 사업을 시작했다.
미국의 MRO 시장 연간 규모는 20조원 정도다. 미국은 중국에 뒤진 조선업의 경쟁력을 살리려면 동맹국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미국의 경우 조선소가 모자라 함정 건조나 수리 일자를 못 맞추고 있어서다.
미국 의회의 해양산업 육성지침을 보면 해군 지원 등 안보전략에 따른 해양 프로그램을 마련 중이다.
한국이 미국에 먼저 제안하는 적극적 협력 자세가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