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박용인 삼성 시스템 LSI 사업부장 "엑시노스 2600, 좋은결과 있을 것"

엑시노스 2600 갤럭시 S26 탑재여부에 대해서는 비공개
박용인 삼성전자 DS부문 시스템LSI사업부장(사장)이 1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한국공학한림원 영 페스티벌'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박용인 삼성전자 DS부문 시스템LSI사업부장(사장)이 1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한국공학한림원 영 페스티벌'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박용인 삼성전자 DS부문 시스템LSI사업부장(사장)은 11일 "엑시노스 2500에 이어 엑시노스 2600를 차근차근 잘 준비하고 있다"며 엑시노스에 대한 자신감을 내보였다.
박 사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미래 공학인재 양성을 위한 멘토링 행사 '한국공학한림원 영 페스티벌'에 앞서 취재진을 만나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밝혔다.

엑시노스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의 시스템LSI사업부가 설계하고 파운드리사업부에서 생산하는 자체 애플리케이션프로세(AP)다.

AP는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핵심 반도체로 삼성전자는 자사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S시리즈에 퀄컴 제품과 통상 병행 탑재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갤럭시 S25시리즈에 퀄컴 제품을 전량 탑재하면서 시장에 엑시노스 성능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이에 삼성전자는 전날 공개한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플립 7'에 퀄컴 제품을 제외하고 엑시노스2500을 전량 탑재했다. 업계는 갤럭시Z 플립7이 엑시노스 성능 의구심을 해결해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엑시노스2500의 흥행은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시스템LSI사업부와 파운드리사업부의 실적개선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엑시노스 2500 초도물량에 따른 매출은 2분기 말부터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가에선 시스템LSI의 매출이 올해 1분기 대비 2분기에 1조원가량 증가하고 적자 폭도 줄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선 삼성전자가 내년초 공개할 갤럭시 S25 시리즈에 2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공정에서 생산된 엑시노스 2600이 탈재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박 사장은 "(엑시노스 2600 탑재 여부는) 고객사 소관"이라며 말을 아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