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슨리소시즈와 DLE 기술 실증 위한 MOU 체결
북미 염수 리튬 자원 투자와 사업화 적극 활용
북미 염수 리튬 자원 투자와 사업화 적극 활용

30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는 이날 호주 자원 개발 기업인 앤슨리소시즈와 '리튬직접추출'(DLE) 기술 실증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DLE는 기존 염수 증발법과 달리 염수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기술이다. 리튬 추출 시간을 십수 개월에서 몇 시간으로 대폭 단축한 것이 특징이다. 데모플랜트는 실제 상업 생산에 앞서 소규모 설비를 건설·운영해보는 단계다.
이번 협약에 따라 포스코홀딩스는 미국 유타주 그린리버시티 내 앤슨리소시즈가 염수 리튬 광권을 보유한 부지에 데모플랜트를 건설하고 DLE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한다. 내년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포스코홀딩스는 미국 현지 데모플랜트의 성공적 운영을 통해 2016년부터 독자 개발해 온 DLE 기술의 상용화를 완성하고 이를 북미 지역 미개발 리튬 염호 투자와 사업화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양사는 실증 결과에 따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등 추가 협력 가능성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번 DLE 데모플랜트 투자는 포스코그룹이 추진하고 있는 리튬 자원 추가 확보와 미래 기술 경쟁력 강화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추진했다. 현재 장 회장은 철강과 에너지 소재, 신사업 중심의 '2 코어(Core)+뉴 엔진(New Engine)'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이차전지소재 사업 중에서도 특히 리튬 자원 공급망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이는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을 기회로 삼아 광산과 염호 등 우량 리튬 자원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시황 회복 시 리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포스코홀딩스는 연산 2만5000t 규모 아르헨티나 염수 리튬 공장과 전남 율촌산업단지 내 광석 리튬 공장을 연이어 준공했다. 전기차 약 16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연산 6만8000t 규모의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을 확보한 것이다.
호주 광산 기업 핸콕과도 연산 3만t 규모 리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포스코홀딩스는 2030년 리튬 생산능력 총 42만 3000t을 확보해 글로벌 3위 리튬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DLE 데모플랜트는 포스코그룹 북미 리튬 사업 확장에 필요한 미래 핵심 기술 선점을 위한 투자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