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소 자동차 업계 지원 정책 마련 총력
청강업계 정부 유예기간 협상 적극 지원
청강업계 정부 유예기간 협상 적극 지원

완성차 업계의 경우 현지생산을 통한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다만 부품사와 같은 중소업체들은 자구책을 마련하기 힘들어 정부에서 지원에 나섰다. 철강업계는 정부의 유예기간 협상을 지원하며 기술력을 통해 틈새 전략 마련에 집중한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당분간 우리나라 수출 감소는 불가피하다는 진단이다.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에 25% 관세가 부과된 만큼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제품 수출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기업별로는 한국지엠이 우리나라에서 생산하는 연간 49만대 중 86% 수준인 42만대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는데 25% 상호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에서의 가격 경쟁력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수출이 급감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미국이 다음 달 3일 이전에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이어서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의 타격도 심화할 수 있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138조원에 달하는 부품 중 미국에 수출된 물량은 약 12조원가량으로 파악된다.
정부는 국내 2만여개의 자동차 부품 업체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 중 95% 이상이 매출액 300억원 미만의 영세업체로 미국의 관세 부과시 수출 위축과 함께 생산·일자리 감소 등 연쇄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긴급 유동성 지원을 위해 자동차산업에 정책금융 2조원을 추가 공급하고, 추후 소진율과 관세 파급에 따른 기업 수요 변화 등을 고려해 추가 공급 여부를 검토한다.
이러한 정부 지원에 호응해, 현대‧기아차 차원에서도 금융권 및 기보·신보·무보와 함께 1조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통해 협력사의 대출·보증·회사채 발행을 돕는다. 또한, 관세 피해 중소기업 대상 '긴급경영안정자금(2025년 2500억원)'지원도 확대한다.
관세 피해기업이 법인·부가·소득세 납부기한 연장 신청시 최대 9개월 연장, 관세는 최대 1년 연장해 조세부담 완화도 적극 지원한다. 자동차 수출 다변화를 위해 글로벌 사우스 등 신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철강업계는 관세 유예 기간 동안 진행될 정부의 대미 협상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철강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통해 얻고자 하는 정치적 이익, 상호 관세와 달리 강경한 품목 관세의 배경을 분석해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반응이다.
국가별 상호 관세 시행을 유예하고 기본 관세 10%만 적용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에 대한 25% 품목별 관세는 유지 중이다. 러스트 벨트의 블루칼라 노동자를 지지 기반으로 둔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기술력을 활용한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것도 고려 중이다. 유정용 강관, 전기강판, 컬러강판과 같이 미국 철강사가 주로 생산하지 않지만, 한국의 기술력 강점이 있는 제품을 중심으로 관세 인하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