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범위한 개인정보 수집에 보안 우려 급증
카카오·LG유플러스 등 기업들 '사용 자제'
외교부·국방부·산자부 등도 딥시크 사용 금지
카카오·LG유플러스 등 기업들 '사용 자제'
외교부·국방부·산자부 등도 딥시크 사용 금지
![중국의 생성형 AI인 딥시크가 사용자 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하는 것이 알려지면서 국내 기업과 정부 부처들도 딥시크 사용 금지를 권고하고 있다. 사진은 딥시크 로고. 사진=로이터](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50131151928001780c8c1c064d22114611240.jpg)
지난 4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한국을 방문해 카카오 정신아 대표와 만났다. 이 자리에서 두 대표는 양사 전략적 제휴를 발표했다. 카카오는 막대한 비용이 요구되는 거대언어모델(LLM)을 개발하는 대신, 오픈AI의 챗GPT를 사용해 카카오 주요 서비스에 최적화하는 길을 택한 것이다.
이튿날인 5일, 카카오는 내부 구성원을 대상으로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공지했다. 카카오-오픈AI 동맹을 보다 강조하기 위한 퍼포먼스일 수도 있겠지만, 딥시크가 AI 모델의 학습을 위해 수집하는 정보가 광범위해 보안을 우려한 조치로 보인다.
![딥시크가 수집하는 개인정보는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비밀번호, 프롬프트, 텍스트와 오디오, IP주소 등 광범위하다. 사진=딥시크 개인정보 보호정책 페이지 캡처](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50206105729044683b60030fa210625224986.jpg)
실제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생년월일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비밀번호 △딥시크 이용 시 서비스에 제공한 텍스트와 오디오 입력 △프롬프트 △업로드된 파일 △채팅 기록 △기타 콘텐츠 등을 수집한다.
이 밖에도 △딥시크 서비스를 이용한 장치 모델 △키 입력 패턴 또는 리듬 △IP 주소도 수집대상에 포함된다.
가장 우려되는, 수집된 데이터 보관장소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이다. 수집된 정보의 보관 기한은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다. 그저 "정보 유형, 정보 사용 목적 및 법적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르다"고만 표기하고 있다.
![딥시크가 수집한 개인정보는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된다. 사진=딥시크 개인정보 보호정책 페이지 캡처](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50206105759009783b60030fa210625224986.jpg)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보안에 대한 우려도 덩달아 증폭됐다. LG유플러스도 사내망에서 딥시크를 업무용으로 활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딥시크의 보안 안정성이 확인될 때까지 직원 개인 기기에서도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한전KPS도 사내 업무용 컴퓨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한다는 내용을 공지했다. 원전과 관련된 국가 기밀 자료가 해외로 유출될 것을 염려한 대응이다.
네이버는 챗GPT 붐이 일던 2023년, 사내 AI 활용 가이드라인을 공지했었다. 이에 따라 사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AI 서비스는 사용을 지양할 것을 권장했다.
정부 부처의 동참도 확대됐다. 현재까지 확인된 곳만 해도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국방부 등이 딥시크 사용에 대한 유의 또는 금지 공문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전달했다. 해당 공문에 딥시크만 특정하지 않고 "챗GPT와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는 내용을 담았지만 딥시크의 보안 우려가 확산된 직후의 공문이기에 사실상 딥시크가 생성형 AI 금지령을 촉발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