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란보고서 마이런 연준 이사 "금리인하 속도" 뉴욕증시 비트코인 "ADP 고용보고서 환호 폭발"
이미지 확대보기필란티어 빅쇼트 공매도 사태로 촉발된 뉴욕증시 혼돈 상황에서 연준 FOMC 다시 금리인하 족으로 급선회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뉴욕증시 비트코인 등이 폭발하고 있다. 노동부 고용상황보고서가 셧다운 먹통ㅇ니 와중에 ADP고용보고서는 폭발하고 있다.
미국 민간 고용지표가 환영할 만한 결과로 나왔지만 여전히 고용 수요가 원하는 만큼 강하지는 않다며 기준금리를 더 내릴 여지가 있다고 스티븐 마이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가 말했다.
마이런은 야후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날 발표된 10월 ADP 전미 고용보고서 결과에 대해 "예상치보다 좋았고 깜짝 놀랄 정도로 환영할 만한 결과"라면서도 "여전히 노동 수요는 우리가 원하는 만큼 강하진 않은 것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이런은 "고용시장 지표는 기준금리가 현재 수준에서 더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며 기준금리를 더 내려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마이런은 또 "나의 금리 전망은 대부분 다른 사람들과 다르지 않다"며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금리 목표치에 더 빠르게 도달하고 싶다"고 말했다. 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10월 민간 고용은 전달 대비 4만2천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전망치 2만5천명 증가와 전월치 2만9천명 감소를 모두 상회했다.마이런은 지난 9월 연준 이사로 임명된 후 두 번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모두 50bp의 금리인하에 투표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일라이 릴리, 노보 노디스크와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 협상을 마무리하고 이를 곧 발표할 예정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미 CBS 보도를 인용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두 제약사와의 협상 결과를 오는 6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협상으로 비만체료제 가격은 한 달분에 150달러까지 인하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양사의 비만치료제 일부 저용량 제품을 새 웹사이트 '트럼프알엑스'(TrumpRx)를 통해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미국 연방대법원이 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등 세계 각국에 부과한 광범위한 관세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심리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외교 정책의 핵심 수단인 관세 부과가 대통령의 권한 내에 있는지 법적 판단을 받게 된 것으로, 대법원 결정은 국내외에 중대한 파장을 가져올 전망이다. 연방대법원은 이날 워싱턴DC의 대법원 청사에서 이번 관세 소송과 관련한 구두 변론을 개시했다. 오전에 시작된 구두 변론 절차는 3시간 가까이 진행됐다. 정부 측 대리인과 소송을 제기한 중소기업 및 민주당 성향 12개 주(州)를 대리하는 변호사들이 차례로 나와 법정 공방을 펼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초 직접 구두변론에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대법원 심리를 사흘 앞두고 "이 결정의 중대성을 흐리고 싶지 않다"며 불참 의사를 밝혔다. 심리의 주요 쟁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관세 부과의 법적 근거로 삼은 것이 정당한 지였다. 1977년 제정된 IEEPA는 '국가 비상사태'에 대응할 여러 권한을 대통령에 부여하는 데 그중 하나는 수입을 '규제'할 권한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미국의 만성적인 대규모 무역적자가 국가 안보와 경제에 큰 위협이라고 주장하며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IEEPA에 근거해 100개 이상 나라에 국가별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D. 존 사우어 법무차관은 이날 대법관들에게 트럼프 대통령이 비상 권한을 사용한 것은 미국의 무역적자가 미국을 경제·국가안보적 재앙 직전의 상태로 몰아넣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사우어 차관은 이 같은 관세 부과가 트럼프 대통령의 여러 무역 협상을 타결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주장하면서 만약 그 합의들을 되돌릴 경우 "미국은 훨씬 더 공격적인 국가들의 가차 없는 무역 보복에 노출되고, 경제·국가안보 측면에서 파괴적 결과를 맞으며 강한 나라에서 실패한 나라로 추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존 로버츠 연방대법원장은 세금 부과 권한에 대해 "그것은 언제나 의회의 핵심 권한이었다"고 언급했다. 로버츠 대법원장 역시 보수 성향으로 분류된다.보수 성향의 브렛 캐버노 대법관은 대통령 권한 범위와 관련, 과거 하급심 법원이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이 유사한 법률에 따라 관세를 부과한 것을 허용한 선례가 있다면서 이는 의회가 대통령에게 "비상사태에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려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발언했다.
앞서 1심을 맡은 국제무역법원(USCIT)과 2심을 관장한 워싱턴 DC 연방순회항소법원 등 하급심 법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비상 권한을 활용해 전 세계에 관세를 부과한 조치가 불법이라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현재 보수 우위 구도(보수 6, 진보 3)로, 그간 주요 사건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우호적인 결정을 한 전례가 있어 결과를 장담할 수 없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심리를 거쳐 나올 대법원 판결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사법부의 최종 판단이라는 점에서 미국은 물론 관세 영향을 받는 전 세계 국가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대법원의 이번 심리에 대해 "미국에는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라며 "이기면 막강하면서도 공정한 경제·국가 안보를 얻게 되지만, 패하면 수년간 우리를 이용해 온 다른 나라에 대해 사실상 무방비 상태가 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소송에서 패하더라도 무역확장법 232조, 무역법 301조 등 관세를 부과할 '플랜B', 즉 다른 법적 수단은 여전히 남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승리할 경우 전방위적 관세 정책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IEEPA이 규정한 '국가 비상사태'를 명분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상 의회 견제 없이 관세 부과를 이어갈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민간 고용지표가 예상을 웃돈 데 힘입어 상승 출발했다. 민간 고용이 예상을 웃돈 것은 투자심리를 지지했다. 미국의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발표됐다. 미국의 10월 공급관리협회(ISM) 서비스 PMI가 52.4로 전망치를 50.8을 큰 폭으로 상회한 것도 투자심리를 북돋웠다. 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기준 미국의 10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는 54.8로 나타났다. 예비치(55.2) 대비 하락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도 회계연도 1분기 주당순이익(EPS)이 35센트로 시장 예상치 40센트를 밑돌면서 주가가 8% 빠졌다. 유럽증시도 상승세를 보였다. 유로스톡스50 지수는 전장 대비 0.15% 오른 5,668.81에 거래 중이다. 독일 DAX 지수는 0.13% 올랐고 프랑스 CAC40 지수와 영국 FTSE100 지수는 각각 0.09%, 0.60% 상승했다. 국제 유가는 약세를 나타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