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수입품에 기본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국가별·품목별로 추가 관세를 적용하는 새로운 무역조치를 시행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사실상 전세계 대상의 포괄적 무역전쟁을 예고하는 조치로 평가된다.
◇ 중국·인도·브라질 등 고율 관세 대상
로이터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백악관이 발표한 무역정책 지침에서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관세를 적용하고 11월 1일부터는 일부 국가와 품목에 최대 100%의 추가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예고했다.
중국 제품에 3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인도에 대해서도 50%, 대부분의 브라질산 제품 역시 50%의 고율 관세 대상에 포함됐다.
유럽연합(EU)에는 대부분의 제품에 15%, 한국과 일본에는 각각 15%, 캐나다에는 에너지 제품 10%, 그 외 상품에는 35%의 관세가 부과된다.
멕시코는 미·캐나다·멕시코협정(USMCA)에 포함되지 않은 품목에 대해 25%의 관세가 적용된다.
◇ 철강·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 산업별 타격
품목별로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50%, 자동차 및 부품에는 25%, 구리관과 기타 반제품에는 50%, 목재류에는 최대 25%의 관세가 매겨졌다.
또 11월 1일부터 중대형 트럭과 부품 25%, 버스 10%의 관세가 새로 시행될 예정이며 의약품·반도체·영화·항공기 부품 등은 100%의 관세 부과가 예고돼 있다.
애플의 아이폰도 25%의 고율 관세 대상에 포함됐다.
◇ “무역 긴장 다시 최고조…글로벌 공급망 흔들릴 수도”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의 다자 체제를 사실상 무력화하고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보호무역 정책의 재강화로 해석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 조치가 글로벌 공급망을 크게 뒤흔들 수 있으며 수입물가 상승과 기업 생산비 부담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