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中, 기술기업에 엔비디아 AI칩 구매 중단 지시

바이트댄스·알리바바 등에 RTX Pro 6000D 주문 취소 명령
美 기술 의존도 줄이기 위한 조치...엔비디아 주가 1% 하락
엔비디아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엔비디아 로고. 사진=로이터
중국 당국이 자국 주요 기술기업들에게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 구매를 중단하고 기존 주문을 취소하라고 지시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1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중국 사이버공간관리국(CAC)은 바이트댄스와 알리바바를 포함한 기업들에게 이번 주 엔비디아의 RTX Pro 6000D 칩에 대한 테스트와 주문을 종료하라고 지시했다고 이 문제에 정통한 3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이는 미국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중국의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엔비디아 주가는 개장 전 거래에서 1% 하락했다. 역대 미국 행정부들이 첨단 칩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제한해온 가운데, 중국도 국내 기업들이 미국 공급업체를 외면하도록 압력을 가하며 맞대응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중국이 엔비디아가 독점금지법을 위반했다고 비난한 지 며칠 만에 나온 것으로, 최근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새로운 금지 조치는 엔비디아의 중국 맞춤형 AI 칩의 이전 버전인 H20에 초점을 맞췄던 규제 당국의 이전 지침보다 더욱 강력하다. RTX Pro 6000D는 중국 시장에 맞춰 개발된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이다.

로이터는 이번 주 초 일부 주요 기술기업들이 RTX Pro 6000D 주문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해당 칩에 대한 수요가 미지근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여러 회사가 수만 대의 RTX Pro 6000D를 주문할 예정이었으며, CAC 지시를 받기 전까지는 엔비디아의 서버 공급업체와 함께 테스트 및 검증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미국이 첨단 반도체 기술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는 것에 대한 보복성 조치로 해석된다. 미국은 중국의 군사적 활용 가능성을 우려해 AI 칩을 비롯한 첨단 기술의 대중국 수출을 지속적으로 통제해왔다.

이에 따라 중국은 자체 반도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동시에 미국 기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특히 AI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반도체 공급망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엔비디아는 현재 글로벌 AI 칩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중국은 엔비디아의 주요 시장 중 하나였다. 하지만 미국의 수출 통제와 중국의 이번 구매 중단 지시로 양국 간 기술 디커플링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글로벌 AI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중국 기업들의 AI 개발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에서의 매출 감소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