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마드리드서 다시 만난 美·中…관세·틱톡 갈등 시험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오른쪽)이 14일(현지시각) 스페인 마드리드를 찾아 호세 마누엘 알바레스 스페인 외교부 장관과 회담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오른쪽)이 14일(현지시각) 스페인 마드리드를 찾아 호세 마누엘 알바레스 스페인 외교부 장관과 회담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과 중국이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14일(이하 현지시각) 무역협상을 재개하며 11월로 다가온 대규모 관세 부과와 틱톡 퇴출 시한을 앞두고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양국은 이번 회담에서 관세와 함께 안보 사안으로까지 비화한 틱톡 문제를 놓고 돌파구를 모색할 전망이라고 야후파이낸스와 뉴욕타임스(NYT)가 14일(현지시각) 전했다.

이번 회담에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가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한다. 미국 재무부는 양측이 "상호 관심 있는 무역·안보 현안, 특히 틱톡과 자금세탁 대응 문제"를 집중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 역시 "미국의 일방적 관세 조치와 수출 통제 남용, 틱톡 문제가 의제에 오를 것"이라고 확인했다.

◇ 관세 협상, 11월 기한 임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90일 연기해 11월 10일까지 유예했지만 만약 협상이 결렬될 경우 최고 100%에 달하는 ‘초고율 관세'가 다시 현실화될 수 있다. 현재 양국은 중국산 제품에 30%, 미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매기고 있으며 철강·의료품 등 일부 품목에는 더 높은 수준의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 틱톡 퇴출 여부도 최대 변수


틱톡 역시 협상 핵심 변수다. 지난해 미 의회를 통과한 법률에 따라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이달 17일부로 미국 내 서비스가 금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법 집행을 이미 세 차례 미뤘지만 "추가 연장 가능성"을 언급해 협상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 러시아 원유·지정학 갈등 겹쳐


미국은 최근 중국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문제 삼으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앞서 인도에도 같은 이유로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으며, 주요 7개국(G7) 국가들과 함께 중국에 대해서도 최고 100% 관세를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회담이 단기간 내 ‘대타협’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예상하고 있다. NYT는 "미·중 양국은 사실상 세계 경제를 양분하는 두 블록으로 재편되고 있다"며 "이번 회담은 관계 악화를 막는 방어선 성격이 강하다"고 분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