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 전기차 배터리 공장에서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의 상당수는 단기간 투입된 전문 기술자들이며 합법적인 비자 근거가 있었다는 주장이 변호인을 통해 나왔다고 AP통신이 9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 4명을 대리하는 애틀랜타 이민전문 변호사 찰스 쿡은 AP와 인터뷰에서 “구금된 한국인 대부분은 엔지니어이거나 장비 설치 담당자로 현대차 배터리 공장을 가동하기 위한 고도의 특수 업무를 맡고 있었다”며 “이들은 B-1 비즈니스 방문자 비자 프로그램에 따라 정당하게 입국해 2~3주, 길어도 75일을 넘기지 않을 계획이었다”고 말했다.
이번 단속은 지난 4일 조지아주 엘라벨 지역에 위치한 현대차 공장에서 이뤄졌으며 총 475명이 구금됐다. 이 가운데 300명 이상이 한국인으로 확인됐고 일부는 수갑과 족쇄가 채워진 모습이 공개돼 논란이 컸다.
현대차 조지아 공장 인근에서는 이민자 옹호 단체와 한인단체가 기자회견을 열고 구금자의 석방을 요구했다. 사라 박 애틀랜타 한인회연합 회장은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 상당수가 배터리 공장을 정상적으로 가동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 인력이었다”고 말했다.
미국 노동계에서는 한국인 근로자들이 단순 기술 지원을 넘어 현지 건설 노동에까지 동원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크리스티 흄 사바나 지역 노총 회장은 “한국인 근로자들이 시멘트 타설, 철골 조립, 목공, 배관 작업 등 기본 건설 업무에 투입됐다”며 “그 결과 현지 노동자들의 일자리가 빼앗겼다”고 주장했다.
조현 한국 외교부 장관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동맹국 미국에서 군사작전을 방불케 하는 방식으로 수백명의 한국인을 구금한 것은 매우 심각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런 상황에서 한국 기업이 어떻게 제대로 투자할 수 있겠느냐”며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