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세계 주요국, 첨단 군용 로봇 개발 경쟁 치열…한국 SGR-A1 등 4개국 주요 모델 주목

미·러·에스토니아와 한국, AI·원격조종 기술로 전장 패러다임 변화 이끌어
인공지능(AI)과 원격조종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군용 로봇 개발이 빨라지고 있다. 폭발물 처리 휴대용 로봇인 '팩봇'의 모습. 사진=AFP/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인공지능(AI)과 원격조종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군용 로봇 개발이 빨라지고 있다. 폭발물 처리 휴대용 로봇인 '팩봇'의 모습. 사진=AFP/연합뉴스
세계 주요국이 인공지능(AI)과 원격조종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군용 로봇 개발에 나서면서 전장의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와이오뉴스(WION)가 지난 7일(현지시각) 보도에 따르면, 차세대 전쟁을 이끌 세계에서 가장 진보한 군용 로봇에 한국의 SGR-A1을 비롯해 미국, 러시아, 에스토니아 등이 개발한 첨단 군용 로봇들이 실전 배치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러 중심 실전 검증된 로봇 시스템들


미국이 개발한 팩봇(PackBot)은 폭발물 처리(EOD), 위험물질 대응, 수색 및 구조 등 위험한 임무를 담당하는 휴대용 로봇으로 평가받고 있다. 원래 아이로봇(iRobot)에서 개발했으나 현재는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 무인지상차량 라인업에 포함돼 있다. 이 소형 궤도식 무인지상차량(UGV)은 미군의 정찰 및 폭탄 처리 임무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러시아의 우란-9(Uran-9)는 시리아 내전에서 첫 실전 투입된 무기 시스템으로, 다양한 경구경 및 중구경 무기와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는 원격조작 포탑을 갖추고 있다. 특히 통합전술관리시스템을 통해 최대 4대의 우란-9가 네트워크를 구성해 협력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러시아의 우란-9(Uran-9)는 시리아 내전에서 첫 실전 투입된 무기 시스템으로, 다양한 경구경 및 중구경 무기와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는 원격조작 포탑을 갖추고 있다. 사진=X이미지 확대보기
러시아의 우란-9(Uran-9)는 시리아 내전에서 첫 실전 투입된 무기 시스템으로, 다양한 경구경 및 중구경 무기와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는 원격조작 포탑을 갖추고 있다. 사진=X


◇ NATO 회원국 공동개발 시스템과 한국의 독자기술


에스토니아 등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들이 공동 개발한 테미스(THeMIS·추적 하이브리드 모듈식 보병 시스템)는 재래식 기관총이나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 무기 시스템은 서아프리카 말리 반군 진압작전인 ‘바르칸 작전’에 실제 배치된 바 있다.

한국의 SGR-A1 시리즈는 삼성테크윈과 고려대학교가 공동 개발한 자율보초포로, 남북한 비무장지대(DMZ) 경계 임무를 위해 한국군이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한국의 독자 기술력으로 개발된 대표적인 자율형 군용 로봇으로 평가받고 있다.
와이오뉴스는 보도에서 "이러한 첨단 군용 로봇들은 무기 및 감시 도구 역할을 넘어 전투 지원, 정보 수집, 부상자 구조, 운송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됐다"고 분석했다. 각국이 개발한 군용 로봇들은 AI와 원격조종 기술의 융합을 통해 기존 전장 개념을 근본으로 바꾸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