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식 무역정책 역풍…美 기업들 “차라리 중국에 남는 게 낫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약속했던 ‘중국 탈출’ 제조업 리쇼어링(본국 회귀) 전략이 오히려 역풍을 맞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기업 상당수가 불확실성과 높은 관세 부담 속에 중국 사업을 유지하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면적인 관세 인상으로 기업들을 중국에서 철수시키려 했지만 다수 기업이 여전히 중국 투자를 유지하거나 확대할 계획이라고 1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미국 기업들의 대중국 무역·투자 이해관계를 대표하는 조직인 미·중무역위원회(USCBC)가 지난 7월 발표한 설문조사에서도 중국에 진출해 있는 미국 기업의 3분의 2가 기존 투자 계획을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로스앤젤레스 소재 야외게임 제조업체 스타럭스게임즈의 주드 킹 창업자는 “우리는 덫에 걸렸다”며 “소비자가 가격 인상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느냐가 또 다른 문제”라고 폴리티코와 인터뷰에서 말했다. 특히 중소기업은 대형 유통업체와 달리 협상력이 부족해 관세 충격을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중국산 제품에 145%의 관세를 부과했고 다른 아시아 국가에도 최대 40%에 달하는 ‘환적 방지 관세’를 적용했다. 그러나 미 연방순회항소법원은 지난달 말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런 관세를 부과할 권한이 없다고 최근 판결했고 이에 따라 연방대법원에서 이 문제에 대한 최종적인 법적 다툼이 이어질 전망이다.

◇ 불확실성에 갇힌 미 기업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외에도 인도에 추가 50% 관세를 부과하는 등 정치·외교 현안을 이유로 돌발적인 관세 인상을 반복하고 있다. 의류·신발 업계를 대표하는 미국의류신발협회 스티븐 라마르 회장은 “기업들이 생산지를 옮기고 싶어도 잘못된 장소로 옮길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에 차라리 중국에 머무는 편을 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급망 컨설팅업체 타이달웨이브솔루션의 카메론 존슨 파트너도 “미국은 제조 생태계와 인센티브가 부족해 리쇼어링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중간·저가 기업들은 이미 시장에서 퇴출되거나 파산에 직면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미국 생활용품 업체 앳홈그룹과 완구·문구 공급업체 IG디자인그룹은 지난 6월 이후 파산을 신청하며 관세 부담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


관세 충격은 이미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 월마트, 타깃, 홈디포 등 대형 유통업체는 2분기 실적 발표에서 관세 비용 상승을 보고했으며 타깃에서 판매되는 바비 인형 가격은 4월 이후 42.9%나 급등했다고 투자자문사 텔시애드바이저그룹은 밝혔다. 이 자문사 소속의 조 펠드만 애널리스트는 “지금까지는 체감이 덜했지만 앞으로 충격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플러스 원’ 전략은 사실상 무너졌다”며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던 미국 기업들이 관세 폭탄과 불확실성 탓에 오히려 중국에 더 발이 묶이고 있다”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