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美 식품업계, 트럼프 대통령 고율 관세에 면제 호소

지난 2022년 3월 2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맨해튼의 한 슈퍼마켓에서 손님이 채소를 고르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22년 3월 2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맨해튼의 한 슈퍼마켓에서 손님이 채소를 고르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교역국에 대규모 고율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미국 식품업계가 수산물·과일·채소처럼 국내에서 대체 생산이 어려운 품목에 대해 가격 급등을 우려하며 면제를 요구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4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 수산물·채소 등 “국내 대체 불가” 주장


FT에 따르면 전미수산협회(NFI)의 개빈 기븐스 전략담당 책임자는 “해산물은 본질적으로 다르다”며 “미국 수산물 소비의 85%는 수입에 의존하고, 자국 해역은 이미 최대 지속가능 어획량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그는 “해산물 전반을 관세에서 면제해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미국 내 새우 공급의 90%는 수입산이며 이 중 3분의 1 이상을 인도가 차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산 원유 수입 문제를 이유로 오는 27일부터 인도산 제품에 50%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국제신선농산물협회(IFPA)에 따르면 미국의 신선 과일·채소 수입액은 360억 달러(약 49조8000억 원)에 달한다. 멕시코가 최대 공급국이며 페루와 캐나다가 그 뒤를 잇는다. IFPA의 레베카 애드콕 부회장은 “과일과 채소는 아예 관세 논의에서 제외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 외식업계도 가격 급등 우려


전미레스토랑협회는 최근 미 무역대표부에 보낸 서한에서 “미국 내 계절 생산만 가능한 신선 식재료에 관세가 붙으면 메뉴 가격이 급등할 수 있다”며 면제를 요청했다. 이 협회의 션 케네디 부회장은 “식음료 제품은 무역적자에 큰 기여를 하지 않는다”며 “이런 품목은 면제 대상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식품산업협회(FMI)의 앤디 하리그 부회장은 “관세는 가격을 올리도록 설계돼 있다”며 “일부 품목은 가격 상승폭이 매우 뚜렷할 수 있다”고 말했다. FMI 분석에 따르면 미국 내 오이 수급에서 수입 비중은 1990년 35%에서 현재 90%까지 늘었다. 이를 전량 국내 생산으로 전환하려면 대부분 온실 재배가 필요해 가격은 크게 오를 수밖에 없다.

◇ 정치적 배경

FT는 이번 조치가 무역 재편을 겨냥했지만 식품업계처럼 국내 대체가 불가능한 품목은 경제적 충격이 크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미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2022년 미국의 수산물 무역적자는 240억달러(약 33조2000억원)에 달했다. FT는 “커피, 망고, 파인애플처럼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는 천연자원은 예외 대상이 될 수 있다”면서도 식품 면제 절차가 아직 마련되지 않아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