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2023년 정부 주도 ‘공장 건설 경쟁’이 수요의 두 배 생산 능력 과잉으로 이어져
지방정부 반발 속 구조조정 난항
지방정부 반발 속 구조조정 난항

지난 6일(현지시각) 오일프라이스가 보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2023년 말부터 이어진 수요 약세가 지난해 더 깊어졌다”고 본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중앙정부는 부동산 부진을 만회하려고 태양광·전기차·배터리 분야에 지원을 쏟아부었다. 지방정부까지 신규 공장 건설에 나서면서 국내외 수요를 훨씬 웃도는 생산 능력이 시장에 풀렸다.
지난해 감축 비율은 통웨이 35%, 진코 솔라 32%로 가장 높았고, 롱기만 5%를 공식 발표했다. 트리나 솔라와 JA 솔라는 별도 발표 없이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에서는 해고가 정치적 민감 사안이라 주요 기업이 공개를 꺼린다.
중국태양광협회 자료를 보면 2024년 들어 40여 곳이 상장 폐지·파산·인수합병됐다. 투자은행 제프리스의 애널리스트 앨런 라우는 “공장 생산 능력 20~30%를 줄여야 이익 구조를 회복할 수 있다”고 짚었다.
중앙정부는 지난달 시진핑 국가주석이 “질 낮은 가격 경쟁을 멈춰라”고 지시한 뒤, 산업부가 업계 간담회를 열어 패널 값 안정을 약속했다. 최대 폴리실리콘 생산업체 GCL은 “저효율 설비 3분의 1을 사들여 가동을 멈추게 할 전략팀을 꾸린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질 조치는 더디다. 안후이성 관리들은 지난 6월 “신규 설비 건설을 멈추고 가동률 30% 이하 공장은 문을 닫으라”고 회사에 알렸지만, 많은 지방정부가 일자리와 지역 경제 지표를 중히 여겨 규제 강화에 선뜻 나서지 않는다.
라우 애널리스트는 “1년 반 넘게 현금 손실이 이어진 만큼 이제는 더 과감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패널 값과 폴리실리콘 값이 소폭 올랐지만, 수요 회복 없이는 ‘공장 과잉→가격 경쟁→손실’의 악순환을 끊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중앙정부는 오는 연말까지 14차 5개년 계획(2021~2025년) 기간 내에 산업 구조를 조정해 과잉 설비를 거둬들이기로 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