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0개 이상의 국가에 대해 동일한 관세율을 적용하겠다는 방침을 공식화했다.
17일(이하 현지시각) 폴리티코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에서 바레인 왕세자 살만 빈 하마드 알 칼리파와 회담한 뒤 기자들과 만나 “그 나라들에 어떤 관세를 부과할지 모두 하나의 편지로 통보할 것”이라며 “그 그룹(150여개국)은 큰 나라들이 아니고 미국과 큰 무역을 하지도 않는다. 우리가 이미 합의한 나라들, 예컨대 중국, 일본과는 다르다”고 말했다.
◇“모두 똑같은 세율 적용할 것…별도 협상은 없다”
트럼프는 “이 나라들에 대해서는 모두 똑같이 적용할 것”이라며 일괄 통보 방침을 거듭 강조했다. 현재 미국은 지난 4월부터 모든 국가에 일괄적으로 10%의 추가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 기준을 15~20%로 높일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다만 이날은 구체적인 세율은 밝히지 않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연합(EU), 일본, 한국 등 주요 교역국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관세율을 통보한 상태다. 이 조치로 인해 각국은 오는 8월 1일 발효를 앞두고 미국 측과 막판 협상에 나서고 있다.
◇인도·일본과 협상 여지 남겨…“편지로 가게 될 수도”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 통보받지 않은 주요국 가운데 하나인 인도와 관련해선 “다음에 인도와의 또 다른 합의가 있을 수 있다. 협상 중”이라고 말했으나 곧이어 “인도와는 매우 가까운 합의에 와 있다. 그들이 개방할 것”이라고 말해 오락가락하는 입장을 피력했다.
일본과 관련해서는 “아직 협상 중이지만 편지대로 갈 가능성이 크다”며 관세 부과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비쳤다. 미국은 일본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태다.
한편, 폴리티코는 미국 무역적자의 3% 이상을 차지하고도 아직 관세 통보를 받지 않은 국가로 대만, 스위스, 인도 등을 지목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략이 이들 국가에도 적용될 경우 미·중 갈등과는 별개로 세계 무역질서에 추가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