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15~20년 장기 목표…IAEA 지침 따라 5~7년 준비 기간 거쳐
한국·프랑스·러시아와 협력 타진…기술·경제성 종합 검토 후 최종 결정
한국·프랑스·러시아와 협력 타진…기술·경제성 종합 검토 후 최종 결정

세르비아 광업에너지부의 두브라브카 제도비치 한다노비치 장관은 최근 첫 원자력 도입 기술 연구 보고서를 공개하며 두 가지 선택지를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전통 원전은 상업적으로 검증된 기술 성숙도를 바탕으로 '규모의 경제'를 통한 경제 이점을 갖추고, SMR은 높은 유연성과 모듈식 확장성, 낮은 초기 투자 비용을 장점으로 내세운다.
제도비치 한다노비치 장관은 "상업용 원전은 규모의 경제를 제공하는 반면, SMR은 유연성과 모듈성, 낮은 투자비를 제공한다"고 말하면서도 "SMR은 아직 개발이 진행 중인 기술"이라고 선을 그었다. 실제로 SMR은 2023년 미국에서 가장 큰 사업이 추정 비용이 53억 달러(약 7조 3272억 원)에서 93억 달러(약 12조 8572억 원)로 급증하며 중단된 사례가 있어 잠재 위험 요인도 거론된다.
세르비아 정부는 원전 도입이 단기간에 이루어지기는 어렵다고 본다. 제도비치 한다노비치 장관은 "연구 결과, 원자력 에너지를 기존 송전 시스템에 통합하는 것은 가까운 미래가 아닌 15~20년 뒤에나 가능하다"고 밝혔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지침에 따르면 초기 1, 2단계 준비에만 5년에서 7년이 걸린다. 이 기간 세르비아는 추가 연구와 분석을 하고 원자력 계획 개발을 전담할 조직을 세울 계획이다. 특히 전문 인력 양성을 전략의 핵심으로 보고 약 3000만 유로(약 483억 8670만 원)를 투입할 예정이다. 장관은 "이 준비 기간이 끝나면 세르비아가 협력할 기술과 상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 안정적 에너지원 확보 '절박'…다각적 국제 협력 모색
이러한 장기 계획의 배경에는 안정적인 에너지원 구성 확보라는 절박함이 있다. 앞서 세르비아 전력 공사(EPS)의 두샨 지브코비치 사장은 "올봄 유럽이 겪은 에너지 붕괴는 늘어나는 재생에너지원을 뒷받침할 대규모 저장 시설의 필요성을 보여줬다"며 "고품질 에너지원 구성은 경제 경쟁력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세르비아는 잠재 협력 상대와의 협력 가능성을 다방면으로 타진하고 있다. 현재 프랑스 전력 공사(EDF)가 첫 기술 연구를 진행 중이고, 프랑스 정부와 초기 단계 협력 협정을 맺었다. 제도비치 한다노비치 장관은 "프랑스는 에너지의 약 70%를 원전에서 생산하는 등 풍부한 경험을 가졌지만, 오랫동안 새 원전을 짓지는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러시아 또한 원자력에 대한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며 "앞으로 2개월 안에 두 가지 기술 유형 모두에 관해 한국과 협력 협정을 맺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정 국가에 얽매이지 않고 선택의 폭을 넓히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러시아는 이미 적극적으로 제안했다. 러시아 국영 원자력 공사 로사톰은 지난 5월 세르비아에 SMR부터 대형 원전까지 모든 범위의 방안을 제공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고, 과거 인력 양성과 국민 대상 홍보 협력에 합의한 바 있다. 세르비아는 2019년 소치에서 열린 '아톰엑스포'에서 로사톰과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긍정 여론 형성 및 인력 양성에 관한 양해각서(MOU) 2건을 맺기도 했다.
◇ 세르비아 국내외 전망은 엇갈려…신중한 최종 선택 예고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