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준금리를 1%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으나 이는 오히려 미국 경제의 신뢰성과 연방준비제도의 독립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14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 의장 자리에 금리 인하 지지자를 임명하겠다”면서 정부의 적자 확대를 감당할 수 있도록 연준이 기준금리를 1%로 낮춰야 한다고 지난달 27일 밝혔다. 그는 이어 30일에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게 보낸 메모를 통해 “금리를 1% 또는 그 이하로 낮춰야 한다”고 또 압박했다.
이는 재정지출 확대와 감세 정책에 필요한 자금을 낮은 이자 비용으로 조달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 낮은 금리, ‘위기 신호’로 해석될 수도
실제로 미국 채권시장 규모는 36조달러(약 5경590조원)에 이르는데 정치적 압력에 따른 금리 인하로 비치면 연준의 독립성이 훼손되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다시 고개를 들 수 있다는 지적이다.
EY-파르테논의 그레고리 다코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만약 연준이 내일 기준금리를 1%로 낮춘다고 발표하면 전통적인 장기금리 인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며 “채권시장은 오히려 인플레이션이 재점화되고 연준의 독립성이 사라진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했다.
다코는 또 현재 미국의 실업률이 4.1%, 경제성장률은 약 2%, 물가상승률은 약 2.5% 수준이라며 “데이터 상으로는 즉각적이고 대규모 금리 인하를 단행할 아무런 근거가 없다”고 강조했다.
◇ 과거의 1% 금리는 ‘좋은 시절’ 아니었다
로이터는 기준금리 1%가 과거에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경제 위기 국면에서 단행된 것이었다고 전했다. 조지 W. 부시 대통령 시절인 지난 2003년에는 이라크 전쟁과 닷컴버블 붕괴, 9·11 테러 이후 금리가 1%까지 내려갔고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글로벌 금융위기 속인 2009년 초 임기를 시작하며 제로금리 시대를 맞이했다.
트럼프 대통령 자신도 전무후무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당시 연준의 초저금리 정책 혜택을 받은 바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처럼 고용이 탄탄하고 경제가 완만하게 성장 중인 상황에서 인위적인 금리 인하는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경제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