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중국해 중국 견제 위한 해군 현대화 가속…300억 페소 규모 한국 조선사업 동시 진행

요미우리신문이 처음 보도한 일본의 구축함 이전 계획에는 대함전 시스템을 갖춘 1980년대 아부쿠마급 구축함이 포함된다. 길이 약 109m인 이 함정은 필리핀 해군의 BRP 미구엘 말바르(118m)와 비슷한 규모로, 신뢰할 수 있는 대함 미사일과 어뢰 발사기, 현대식 센서를 탑재하고 있다.
조지타운대학에서 안보를 연구하는 국방경제학자 로시오 살 가둘라는 "이 함정들은 신뢰할 수 있는 대함 미사일, 어뢰 발사기, 현대식 센서를 탑재하고 있어 필리핀의 중국 해군 활동을 억지하거나 대응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 일본 구축함 이전, 중국 견제에 상당한 효과 기대
드 라 살 대학의 안보분석가 겸 부교수인 셰윈 E. 오나는 "이번 이전은 필리핀군의 반접근·지역 거부 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필리핀의 억지 태세를 강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 구축함 호위함은 해안 순찰이나 연안 임무에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선박으로 우리의 배타적경제수역에 완벽하다"고 덧붙였다.
스탠포드대학 고르디안 매듭 국가안보혁신센터의 레이먼드 M. 파월 연구원은 "아부쿠마급 구축함 호위는 필리핀의 소형 수상 함대에 상당한 확장과 기능 업그레이드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필리핀 해군은 대부분 미국과 영국에서 물려받은 함정으로 구성된 함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중 다수는 노후화하고 첨단 무기가 부족한 상황이다. 가둘라는 "필리핀은 현대식 미사일과 대함전 능력을 갖춘 함정이 거의 없다"며 "현재 많은 함정이 구식이거나 경무장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파월 연구원은 일본 함정의 통합이 필리핀 해군에 병참과 작전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해군은 이전과는 매우 다른 무기 체계를 가진 완전히 새로운 등급의 수상 전투함을 신속하게 흡수해야 할 것"이라며 "더 많은 주력함은 더 많은 훈련된 선원과 기술자, 더 많은 항구 시설과 더 많은 돈을 필요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 HD현대, 300억 페소 연안순찰함 건조로 해군 현대화 동참
국제개발안보협력체 창립 회장인 체스터 B. 카발자는 "필리핀 해군은 무기고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물자 능력을 계속 받아들여야 한다"며 "중국은 숫자로 자국의 해군을 늘리고 있어 양과 전략으로 이에 대응하는 것은 일본과 필리핀에게 꼭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이전은 중국이 계속해서 영유권 주장을 확대하고 있는 남중국해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일본과 필리핀이 지역 해양 안보 협력을 강화하려는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필리핀과 마찬가지로 일본도 동중국해의 센카쿠 열도를 두고 중국과 해양 분쟁을 벌이고 있다. 분석가들은 양국이 중국의 해양 세력 확대에 맞서는 데 공통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말한다.
분석가들은 일본의 엄격한 무기 수출 규정 때문에 일본 함정의 모든 무기 시스템이 이전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가둘라는 "필리핀은 일본 정부의 결정과 구체적인 수출 프레임워크가 합의된 내용에 따라 일부 미사일, 첨단 센서나 전자전 시스템이 제외될 것으로 예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필리핀 해군 대변인 존 퍼시 알코스 대위에 따르면 필리핀 해군은 무기 체계, 선박 정비, 재정 평가 장교를 포함한 6명으로 구성된 시찰단을 오는 8월 일본에 보낼 예정이다.
이번 구축함 이전은 앞으로 10년 동안 필리핀의 국방 태세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더 광범위한 2조 페소(약 48조8200억 원) 군사 현대화 프로그램의 일부다. 이 계획에는 중국과의 긴장 속에서 새로운 전함, 항공기와 미사일 시스템을 얻는 것이 포함된다. 이 전략의 일환으로 정부는 방공 능력을 강화하려고 다목적 전투기를 사들이는 방안도 살피고 있다.
현재 중국은 이른바 9단선을 통해 남중국해에서 광범위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필리핀의 배타적경제수역은 물론 베트남, 말레이시아와 기타 이웃 국가의 배타적경제수역과 겹친다. 2016년 유엔 지원 중재재판소는 중국의 광범위한 청구권이 법적 근거가 없다고 판결했지만, 중국은 이 판결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