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日의 미국산 원유 수입 확대, 트럼프 제안에도 현실적 한계

중동 의존 95% vs 미국산 2%…정유소 시설과 운송비 등 구조적 제약
한국은 20% 수입, 일본은 5월 수입량 280% 증가했지만 여전히 미미
미국은 일본 석유 수입량의 2%에 불과하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은 일본 석유 수입량의 2%에 불과하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이 양국 간 무역 불균형을 좁히기 위해 미국산 석유를 "많이" 구매할 수 있다고 시사했지만,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은 과제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고 4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서류상으로는 일본이 세계 최대 경제대국인 미국으로부터 원유 수요를 모두 수입할 경우 미국과의 무역 흑자를 모두 없앨 수 있다. 일본은 2025년 3월로 끝나는 한 해 동안 약 750억 달러 상당의 원유를 수입했는데, 이는 미국과의 무역 흑자인 620억 달러보다 약 100억 달러 더 많은 금액이다.

하지만 일본의 원유 수입량의 95% 이상이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같은 중동 국가에서 수입됐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산유국임에도 불구하고 수입량의 2%에 불과했다.

에너지 컨설팅회사 ICIS의 원유 시장 리서치 책임자 아제이 파마는 "내가 보기에 일본이 미국산 원유를 더 많이 구매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정유소는 현재 일반적으로 중동 국가들의 무겁고 신맛이 나는 원유를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며 미국이 수출하는 원유는 "일반적으로 더 가볍고 달콤하다"고 설명했다.
"이 가볍고 달콤한 원유는 오늘날 대부분의 일본 정유소에서 쉽게 가공되지 않는다"고 파마는 지적했다. 무거움은 기름의 밀도를 나타내고 스위트 앤 사워는 원유의 황 함량을 나타낸다.

트럼프는 일본과의 협상 교착상태에 점점 더 좌절감을 느끼고 있다. 그가 부과한 "호혜적" 관세를 피하기 위한 협상 시한인 7월 9일이 다가오면서 90일 동안 중단했던 관세를 재개할 가능성이 있다. 일본은 이 관세에 대해 미국과 공식 회담을 가진 첫 번째 국가였지만, 3개월에 걸친 협상에서도 아무런 해결책을 얻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마감시한 전에 협상이 타결될 수 있을지 의심하고 있으며, 일본산 수입품에 대해 30%에서 35%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일본이 미국산 석유 수입을 늘리는 것은 그가 6월 말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제시한 옵션 중 하나였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닛케이 아시아와의 인터뷰에서 이 구상을 인정하면서도 "더 자세한 검토가 필요한 가능성"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본은 최근 몇 달 동안 미국산 원유 수입이 증가했다. 경제산업성 수입량에 따르면 5월 수입량은 933,492킬로리터로 4월 대비 200% 증가했으며 1년 전과 비교하면 280% 증가했다. 미국으로부터의 선적은 전체 원유 수입량의 7.9%를 차지했으며, 이는 전월의 3.9%에 비해 증가한 수치다.

한편 가볍고 달콤한 것으로 간주되는 UAE로부터의 Murban 원유 수입량은 5월에 1,059,680킬로리터 감소했다.

하지만 미국산 원유와 비교했을 때 중동산 원유는 운송 거리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어 운송 비용이 저렴하다. 상품 데이터회사 Kpler에 따르면 중동 화물이 일본에 도착하는 데 일반적으로 약 20일이 걸린다. 이는 미국 화물이 점점 더 혼잡해지는 파나마 운하를 통과할 경우 거의 30일, 아프리카를 우회하는 경로를 이용할 경우 40일 이상과 비교된다.

일본과 대조적으로 한국은 원유의 약 20%를 미국으로부터 수입하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공급원이다. Kpler의 선임 시장 분석가 유이 토리카타는 이는 한국이 "원유의 장거리 수입에 대한 국가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석유화학 산업을 위한 정유공장이 설립되어 있어 미국산 원유를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압박이 가해지면서 일본이 미국산 원유를 더 많이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면, 한 가지 대안은 캐나다산 원유를 수입하는 것일 수 있다고 토리카타는 말했다. 오일샌드에서 생산되는 캐나다산 석유는 매우 무겁기 때문에 미국산 경유와 혼합하면 중동산 석유와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