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불확실성 고조로 기업들 투자 꺼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과는 정반대로 관세 전쟁 탓에 미국의 제조업이 더욱 위축되고 있다. 미국의 고물가 사태 속에서도 비교적 탄탄한 성장세를 보였던 고용 시장도 둔화 조짐이 나타났다. 관세가 대체로 미국 주요 경제 지표의 발목을 잡고 있다.
미국의 제조업 업황 지수가 4월에도 위축 국면을 이어갔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1일(현지시각)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8.7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3월 당시의 49.0보다 0.3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2개월 연속 위축 흐름이 이어진 것이다.
특히 수출 주문 지수는 43.1로 3월의 49.6에서 급락했다. 수입 지수도 47.1로 직전 달의 50.1에서 하락하며 본격적인 위축 국면에 진입했다.
PMI는 50을 기준으로 업황의 확장과 위축을 판단한다. 미국 제조업은 3, 4월에 연속으로 위축 국면에 머물러 있는 사실이 확인됐다.
ISM의 티머시 피오레 협회장은 "제조업 업황은 4월에도 위축세를 보였다"며 "생산과 수요가 모두 감소했고, 인력 감축도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수요 혼란과 관세로 물가 상승이 공급망에 압력을 가하면서 납품 지연과 재고 증가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여파에 미국 제조업 분야에서 공급 지연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의 하위지수 중 공급업체 납기 지수는 55.2로 전달에 비해 1.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22년 7월 이후 최고치다. 이 지수가 기준선 '50'을 웃돈다는 것은 납품이 느려지고 있다는 뜻이다. 이 지수는 공급망에 혼란이 생길 때 올라간다.
미 경제 매체 야후 파이낸스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제계의 불안감으로 미국의 제조업 활동이 4월에 5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둔화했다”고 보도했다. 또 다른 매체 악시오스도 “관세로 인해 미국 제조업이 직격탄을 맞았다”고 전했다.
미국의 노동 시장도 관세 전쟁에 따른 불확실성 고조와 기업의 투자 위축 등으로 인해 타격을 입고 있다. 미 노동부는 지난주(4월 20∼26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4만1000건으로 한 주 전보다 1만8000건 증가했다고 이날 밝혔다.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한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91만6000건으로 직전 주보다 8만3000건 늘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