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주요 노조, 관세 부과 등 강력 대응 촉구
"중국 생산능력, 미국의 232배... 국가안보 위협" 경고
미 의회, 조선업 강화법 초당적 발의
"중국 생산능력, 미국의 232배... 국가안보 위협" 경고
미 의회, 조선업 강화법 초당적 발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8일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러라고에서 언론에 연설하는 가운데, 미국 노동계가 중국 조선업 견제를 위한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고 나섰다.
20일(현지시각) AP통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철강노조(United Steelworkers), 국제전기노동자형제단(International Brotherhood of Electrical Workers), 국제보일러제조협회(International Brotherhood of Boilermakers), 국제기계공·항공우주노동자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chinists and Aerospace Workers) 등 4개 주요 노조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중국 조선업에 대한 관세 부과 등 강력한 제재를 촉구했다.
AP통신이 입수한 4개 노조의 공동 서한은 "중국 공산당의 계획, 정책 및 행동에 따라 건조된 선박에 대해 강력한 처벌을 가하고 미국의 조선 능력과 인력을 재건하는 보완적인 정책을 채택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 노조는 지난해 조 바이든 대통령 재임 당시 1974년 미국 무역법 301항에 따라 중국 조선업 제재를 위한 청원서를 제출한 바 있다.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1950년대 140척이 넘었던 미국의 대형 상선 인도량은 2015년 20척 아래로 급감했다. 군함 건조량도 1970년 130척에서 2015년 30척으로 줄었다. 2024년 기준 미국의 세계 선박 건조량 비중은 0.13%에 불과하다.
반면 중국의 조선소 생산능력은 연간 2325만톤으로, 10만톤 미만인 미국의 최소 232배에 달한다. 중국의 글로벌 선박 수주 비중은 2021년 50%, 2022년 49%, 2023년 60%를 기록하며 1위를 유지하고 있다. AP통신이 입수한 노조 서한에 따르면, 중국 조선업은 2010년부터 2018년까지 1000억 달러 이상의 정부 지원을 받았으며, 2023년에는 1000척 이상의 원양 선박을 제조한 반면 미국은 10척 미만을 제조했다.
해군력 격차도 확대되고 있다. 2024년 기준 중국 해군은 234척의 전함을 보유한 반면, 미국 해군은 219척을 보유하고 있다. 과거 400여 개에 달했던 미국의 조선소는 2024년 기준 21개(수주잔고 보유 기준)로 줄어들었다.
브라이언 브라이언트(Brian Bryant) 기계공·항공우주 노동조합 위원장은 별도 성명에서 "메인주의 배스 아이언 웍스에서 근무하는 조선소 노동자로서, 중국의 약탈적 행동이 우리 국내 조선 산업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직접 목격했다"며 "수십 년 동안 우리는 정리해고에서 조선소 폐쇄, 국내 조선 산업 기반의 위축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보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나마 운하 통제와 국제 무역 조건 재설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이미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서는 오피오이드 펜타닐 제조 관련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지난달 보수 라디오 진행자 휴 휴이트와의 인터뷰에서는 "우리는 더 이상 배를 만들지 않는다"며 "우리는 그 시작이 되고 싶다. 어쩌면 우리는 배를 건조하는 측면에서도 동맹을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18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는 "우리는 예전과 같은 방식으로 건설하지 않는다. 하루에 한 척의 배를 건조하곤 했지만, 이제는 선박을 건조하는 것이 큰 일과 같다"며 "우리는 이 나라를 다시 정상 궤도로 되돌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의회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19일 '미국 번영과 안보를 위한 조선업 및 항만시설법(SHIPS for America Act)'을 초당적으로 발의했다. 이는 미국에서 건조하고 미국인이 소유한 선박만 미국 내 항구를 오갈 수 있도록 규정한 '존스법' 등으로 인한 미국 조선업과 해군력 쇠퇴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백악관은 해양, 물류, 조선 부문에서 중국의 관행에 반발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한국의 조선업 역량에 주목하고 있으며, 장기간의 투자가 필요한 건조 분야보다는 동맹국과의 협력으로 단기간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정비·보수·운영(MRO)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