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트럼프 행정부가 차입 비용을 낮추기 위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인 단기금리가 아니라 10년물 국채 수익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베센트 장관은 5일(현지시각)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 인하를 원하느냐는 질문에 "트럼프와 나는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서 "트럼프가 연준에 금리 인하를 요구하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이어 에너지 공급을 확대하면 인플레이션을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노동계급의 관점에서 "에너지 부문이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나타내는 가장 확실한 지표 중 하나"라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따라서 휘발유와 난방유 가격을 다시 내릴 수 있다면 소비자들이 돈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에 대한 낙관론이 최근 수년간의 높은 인플레이션에서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또한 연준과 관련해서는 "나는 그들이 한 일에 대해서만 말할 것이며, 그들이 앞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일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9월 연준이 50bp(0.5%포인트)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것과 관련해 연준의 ‘점보 금리 인하’ 이후 10년물 국채 금리가 상승했다고 말했다.
베센트는 에너지 가격이 하락하고 행정부가 추진 중인 감세 연장이 시행되고 경제에 대한 규제가 완화된다면 "금리는 저절로 내려가고 달러 (강세) 문제도 저절로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베센트는 이어 최근 몇 년 동안 국내총생산(GDP)의 6%를 웃돌았던 재정적자를 3%로 낮추고, 석유 생산량을 하루 300만 배럴 늘리며, 3%의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는 자신의 경제정책 기조인 '3-3-3'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 경기 확장을 촉진했지만, 새 경제팀이 목표로 하는 것은 자본 지출과 해외로부터의 제조업 일자리 회복에 힘입은 민간 부문 주도 성장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일부 공화당 의원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2017년 감세안의 한시적 연장을 고려할 수 있다는 보도와 관련해 감세 영구화를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안은 대부분 올해 말에 만료될 예정이다.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임무가 있다"면서 "그는 큰일을 하기 위해 들어왔고, 이 행정부가 원하는 큰일 중 하나는 2017년의 세금 감면 및 일자리 법안을 영구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영속성이 미국을 성장 측면에서 세계 1위의 경제로 계속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