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연말 앞두고 치솟는 기름값… 서울 휘발유 1800원, 경유도 들썩

국제유가·환율 상승에 유류세 인하 겹쳐…정부, 업계에 협조 요청
고환율 고유가에 서울 휘발유 평균 가격 1천800원을 웃돌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고환율 고유가에 서울 휘발유 평균 가격 1천800원을 웃돌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휘발유 가격이 9개월여 만에 1800원대를 돌파했다.
국제유가와 환율 상승, 유류세 일부 환원 등이 맞물리면서 유가 상승을 계기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기준 서울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전일 대비 리터당 4.27원 오른 1801원이다.

서울은 지역별 가격이 가장 높은 도시로, 전국 휘발유 평균 가격은 전일 대비 3.65원 오른 1729.66원을 기록했다.
서울 휘발유 가격이 1800원대를 넘어선 건 지난 2월 6일(1800.84원) 이후 약 9개월 만이다. 이대로라면 올해 최고치인 1807.96원(1월 28일)도 조만간 넘어설 전망이다.

경유 평균 판매 가격도 오르고 있다. 전국 평균 가격은 4.71원 오른 1636.13원, 서울은 5.48원 증가한 1709.75원을 나타냈다.

최근 국내 유가는 3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국제 석유제품 가격 반등과 환율 상승이 겹치며 원유 수입 단가가 높아진 영향이다.

여기에 유류세 인하 폭 축소 조치가 반영되면서 소비자 체감 가격은 더 크게 상승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이달부터 휘발유 유류세 인하율을 기존 10%에서 7%로, 경유 및 액화석유가스(LPG) 인하율을 기존 15%에서 10%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기름값 상승은 소비자 물가에도 압력으로 작용한다. 유가가 오르면 물류비·유통비가 연쇄적으로 상승해 연말 물가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최근 발표한 지난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4% 올랐으며, 특히 석유류는 4.8%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률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산업부는 지난 13일 관련 업계와 ‘석유 시장 점검 회의’를 열고 석유제품 가격이 과도하게 오르지 않도록 자발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업계에서는 국제유가가 뚜렷한 하락세로 돌아서지 않는 한 당분간 국내 유가 상승세는 이어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본다.

연말 성수기 수요 증가와 환율 변동성도 하방 요인을 제한하고 있어 소비자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동절기 난방 수요 증가에 더해 글로벌 석유제품 수급 불안정 등이 겹치며 국제유가 상승 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며 “당분간 유가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황효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yojuh@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