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자녀들 미래 교육을 정치 집단이 훼손
사회 단체들 주민처럼 활동···인정하지 않아
집단적 소송 공격에 시의원 주머니만 털려
사회 단체들 주민처럼 활동···인정하지 않아
집단적 소송 공격에 시의원 주머니만 털려

신상영 시의원은 영종국제학교 집행정지 가처분 소송이 ‘기각’된 것을 두고 행정사무감사에서 환영의 뜻을 밝혔다. 국제학교 설립은 절차적·법률적 제동 없이 정상 추진될 전망이 우세해지면서, 지역 정서 분위기도 달라졌다.
그러나 정치 집단과 일부 언론은 결이 다른 행보와 논조를 이어가고 있다. 주민들은 영종국제도시(미단시티) 국제학교 공모 절차를 두고 특정 세력이 흠집 내기와 반대 조장을 이어왔다고 본다. 결국 진실은 하나이며, 주민들은 이를 정치권의 ‘권모술수’라고 규정하고 있다.
주민들은 색깔론 주장을 믿지 않는다. 그들은 스스로 주민 비난을 자초했다는 반응이다. 가처분 소송 기각 결과가 보여주듯, 그간 정치 집단에 속아왔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이제야 반전된 국면은 지역 주민들 자녀 교육 열망과 지역 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달 외국계 교육기관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을 상대로 낸 ‘영종 국제학교 설립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이 기각됐다. 이번 판결은 영종 주민들의 오랜 염원인 국제학교 설립이 절차적·법률적 제동 없이 추진될 가능성을 높였다.
신 의원은 지난 13일 ‘제305회 인천시의회 제2차 정례회’ 인천경제자유구역청 행정사무감사에서 “영종국제학교는 단순한 교육기관이 아니라 영종국제도시가 글로벌 교육·정주환경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윤원석 인천경제청장은 “12일 영종국제학교 설립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이 기각됐다”며 “본안 소송도 거의 동일한 자료로 판단되는 만큼 향후 소송에도 총력 대응해 문제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영종의 도시 가치가 어디까지 성장할지, 도시 경쟁력이 어떻게 판가름 날지를 다루는 중요한 사안이다. 그러나 일부 세력은 이를 정치적 수색전(搜索戰)으로 돌리고, 주민의 이익까지 왜곡하는 행위를 이어가 후폭풍이 거세다.
그 왜곡 구조의 전형적인 방식은 “주민과 싸운다”는 프레임을 씌우는 것이다. 주민이 뽑은 대표자를 사실과 다르게 비방하는 것은 영종 주민을 깔보는 정치적 기만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정작 피해는 주민들이 보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영종 주민들은 “국제학교를 정치 패거리 행사로 만들지 말라”고 말한다. 주민들의 바람은 단순하다. “우리 아이에게 제대로 된 교육 기회를 달라”는 것이다. 영종은 공항 노동자의 숙소를 넘어 글로벌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며 정치 술수 중단 요구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영종 지역 토론회 명단을 들여다보면 정치 진영에서 활동한 정황이 너무나 적나라하게 드러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발제자 등 다수가 특정 정당 인물로 구성돼 주민을 위한 행사라는 이미지와 다르게 비춰지고 있다.
정파 중심 토론의 문제점도 제기된다. "공론장 구성이 특정 진영 중심, 국제학교가 정치 논리의 장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 권익을 위해 싸우는 신상영 의원을 향해 “주민과 싸운다”, “색깔론과 분란을 조장한다”는 공격 현실을 주민들은 납득하지 못하고 있다.
반대 세력은 공격하려면 사실을 덮을 실력이라도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치란 원래 주민의 삶을 대변해야 한다. 그러나 요즘 영종에서는 정파의 기득권을 건드리면 특정인을 향한 공격이 커지는 상황에 주민들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주민보다 ‘우리 편’의 체면, 주민 공론장보다 ‘우리 진영의 서사(敍事)’가 우선되는 모습은 진실을 왜곡시킨다는 반응이다. 그 피해자가 신상영 의원이라는 데 주민들은 동의하고 있다. 주민의 이익보다 정치적 무대가 흔들리는 것이 더 두렵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타난다.
주민들은 이러한 사태를 뿌리 깊은 정치적 사유(思惟)의 퇴화라고 지적한다. 정치는 집단 도구가 아니라 주민들의 권익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 국제학교 하나가 들어오면 지역 가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모르는 주민은 없다.
국제학교는 단순 교육 시설이 아니다. 영종 또한 경제자유구역에 편입된 국제도시다. “누구 편이냐, 어느 진영이 발제했느냐”는 문제로 흐릴 사안이 아니다. 저급한 색깔론 프레임으로 끌어가는 것은 주민 미래를 짓밟는 행위이며, 지적한 정치인이 왜 공격의 대상이 되는지 주민들은 되묻고 있다.
주민들은 이런 구조를 보고 “편향”이라고 규정한다. 진정 영종 아이들의 미래를 고민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도 던지고 있다. 누가 이 문제를 드러냈고, 누가 공론장을 만들어 정치 논리를 조장했는지를 향한 비난 역시 커지고 있다.
김양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pffhgla111@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