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정치인들 매립지 사용종료 반대 낙선운동 불사
정부, SL공사 폐지 강조··· 선거용 정쟁 도구로 전락
정부, SL공사 폐지 강조··· 선거용 정쟁 도구로 전락
이미지 확대보기4일 수도권매립지 문제해결 범시민운동본부와 검단·서구 주민단체들은 인천시청 기자실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대통령은 시민 앞에서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란 명확한 로드맵을 밝혀야 논의나 논평이 나온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은 선거를 앞두고 매립지를 정쟁의 도구로 삼지 말라”는 것, 단체는 최근 발표된 수도권 대체매립지 4차 공모(2025.5.13~10.10) 결과를 언급하며, “인천·서울·경기·기후에너지환경부로 구성된 4자 협의체”가 약속한 책임을 미루지 말라고 시민 목소리를 전달했다.
그동안의 협의 과정이 시민과의 소통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된 점에 대한 대통령의 입장표명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어 “SL공사(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법 폐지도 덧붙였다. 여야 정치권에 대해서도 “수도권매립지 문제는 정당의 정략적인 잣대로 판단하지 말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는 “수도권 전체의 환경과 시민의 삶이 걸린 국가적 과제”라며 “공동 대응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서구 등 인근 지역의 주민들도 매립지 사용 연장이나 이전 지연을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사용종료를 거부하는 정치인들에게는 낙선운동 대상지라고 강도 높게 반발하고 있다.
서구 등에서 활동하는 김용희 시민단체 회장은 기자회견 단상에서 정치권에 매립지 사용종료 반대는 정략적인 이해타산으로 이들에 대한 강력한 낙선운동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다수의 민간단체 회장들은 시민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것은 독선의 정치라고 지적했다.
최근 인천시의회에서는 민주당 의원들이 국민의힘 의원들과 결이 다른 ‘매립지 사용불가’에 전원 반대표를 행사해 이를 두고 낙선운동의 대상자로 꼽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또 이재명 대통령 공약은 조속히 매립종료를 외쳤던 만큼 시민과 대화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계양갑 국회의원 출신인 만큼 서구와 검단구로 내년 조정되는 시점에서 검단주민들은 쓰레기 냄새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전했다. 이웃 정치인으로 국회의원이 되고 대통령이 됐다. 국민과 약속은 지키라고 있다. 단체들은 인천시민들의 목소리를 대변했다.
17개 단체의 요구사항은 이와 같다. “이재명 대통령과 정부는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와 향후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해 ‘대통령실 전담기구’를 즉각 설치하고 ‘대통령 주재 타운홀 미팅’을 조속히 개최하라“고 밝혔다.
다음으로 국회의원은 ‘대통령 주제 타운홀 미팅’ 개최를 주선하고. “(가칭)대체매립지 지원특별법”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폐지 법률을 즉각 제정하라는 것이다.
그다음으로 4자 협의체는 ‘수도권 대체매립지 4차 공모’ 결과 발표 뒤 ‘향후 절차’ 정책을 주민에게 공개하여 소통하고 ‘2026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도 계획한 대로 시행하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인천지역 ‘여야민정’은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를 위한 한뜻과 한목소리로 공동 대응하라고 촉구하는 메시지를 냈다. 이는 시민의 목소리를 담아낸 매립지 종료에 대한 답의 요구로 정치권의 이율배반적인 정략 정치가 인천시민들의 분노를 자극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양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pffhgla111@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