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희토류는 더 이상 중국 독점 아냐”…G7, 핵심광물 동맹 공식 출범

중국 지질박물관의 확대경 옆에 희토류 산업에서 세륨, 란탄, 네오디뮴과 같은 원소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광물인 모나자이트 샘플이 확대경 옆에 전시되어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지질박물관의 확대경 옆에 희토류 산업에서 세륨, 란탄, 네오디뮴과 같은 원소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광물인 모나자이트 샘플이 확대경 옆에 전시되어 있다. 사진=로이터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단 희토류 갈등의 불씨가 유예된 가운데, 주요 7개국(G7)이 ‘핵심 광물 동맹’을 공식 출범시키며 중국을 향한 견제 수위를 한층 끌어올렸다. 올해 G7 의장국인 캐나다를 비롯해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7개국 에너지 장관은 지난달 30일부터 이틀간 토론토에서 회의를 열고 ‘핵심 광물 생산 동맹’을 체결했다. 이번 합의는 6월 G7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핵심 광물 행동계획(CMAP)’의 구체적 실행 단계로, 국방·청정에너지·첨단 제조 분야에 필요한 주요 광물의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G7은 이를 위해 25개의 신규 투자 프로젝트와 참여국 간 ‘거미줄식 공급망 파트너십’을 추진하기로 했다. 영국은 캐나다 천연자원부와 협력해 광산 개발과 공급망 보조금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이탈리아 에너지기업 에니(ENi)는 캐나다 리튬·흑연·희토류 정제 및 재활용 기술 스타트업에 투자해 광물 공급망 진출을 강화할 예정이다.

AFP통신은 이번 G7 조치가 “중국이 과도한 지배력을 행사해온 희토류를 비롯해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금속 생산·개발을 포함한다”며 “중국의 독점을 완화하려는 직접 대응”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생산의 약 70%, 정제·가공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G7은 중국의 공급망 통제에 맞서 ‘시장 집중도와 의존도 축소’에 본격 나섰다는 평가다.

팀 호지슨 캐나다 에너지부 장관은 “이번 계획은 세계에 매우 명확한 메시지를 보낸다”며 “우리는 특정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줄이는 데 진지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라이트 장관 역시 “중국은 비시장적 행태로 타국의 광물 생산을 막으며 전략적 지렛대를 확보했다”며 “이제 모든 나라가 그것을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중국은 즉각 반발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G7은 시장경제 원칙과 국제무역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며 “소집단의 규칙으로 세계 경제질서를 훼손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또 중국 상무부는 전날 2026~2027년 텅스텐·안티몬·백은 수출 기업의 심사 절차를 강화하며 희귀 금속 수출 통제 강도를 높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동맹이 단기적으로는 공급망 재편의 신호탄이자, 중장기적으로는 ‘탈(脫)중국 자원블록화’의 본격적인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