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150조 '국민성장펀드' 본격 가동…5대금융 회장 모여 '역량 총동원'

‘사무국 현판식 및 업무협약식’
이억원 “금융권·산업계 상시 연결되는 구조 만들 것”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별관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현판식 및 업무협약식’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이미지 확대보기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별관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현판식 및 업무협약식’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150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국민성장펀드가 본격 가동된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글로벌 산업 패권 경쟁에 대응해 정부·금융권·산업계·지역·국민의 역량을 총동원해야 할 시점”이라며 금융권의 협업을 강조했다.
정부와 금융권은 17일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현판식 및 업무협약식’을 열었다.

이날 현판식에는 이 위원장과 신진창 금융위 사무처장, 박상진 한국산업은행 회장,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이찬우 농협금융지주 회장이 참석했다.

이 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생산적 금융 대전환을 제시한 지 시간이 흘렀지만, 시장의 평가는 여전히 냉정하다”며 “금융권이 이자 중심의 관행에 안주하며 전략적 재원 배분에서는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 MOU로 인력 파견과 정보 공유가 제도화된 만큼 금융권과 산업계가 상시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진 산은 회장은 “국민성장펀드는 민관이 합심해 첨단 전략산업 전체 생태계를 지원하는 150조원 규모의 프로젝트”라며 “정책금융과 시장 전문성이 결합된 생산적 금융 생태계 구축의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국민성장펀드는 앞으로 5년간 인공지능(AI), 반도체, 바이오, 백신, 로봇 등 첨단전략 산업과 관련한 기업에 집중투자할 예정이다.

해당 펀드는 공공 75조원, 민간 75조원로 구성됐으며,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는 10조원씩 총 50조원을 부담한다.
아울러 5대 금융과 산은은 사무국 파견 인력과 첨단전략산업 관련 정보 교류 등을 정례화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신설 등 전문적인 거버넌스 체계를 만들고, 투자 수요를 모집하고 있다. 기금운용심의회 추천 등 절차를 밟으며 금융·산업계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할 수 있는 소통 풀도 구성하고 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