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번 돈으로 이자도 못 갚는 '좀비기업' 42.8% 역대 최대

한국은행 '2024년 연간 기업경영분석 결과'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해 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이 더 늘어나 역대 최대 수준까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24년 연간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율은 42.8%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과 2023년 기록한 직전 최고치인 42.3%를 웃도는 사상 최고치다.

이자보상비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영업이익 대비 이자비용 부담을 가리킨다. 이 비율이 100%가 안 된다는 것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자보상비율이 100%를 밑도는 상황이 1년간 나타나면 '일시적 한계기업', 3년간 이어지면 '한계기업' 또는 '좀비기업'으로 분류된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중은 2019년(36.6%)에서 2020년(40.9%)에 4.3%포인트(P) 급등한 뒤 지난해까지 줄곧 40%대를 유지하고 있다.
문상윤 한은 경제통계1국 기업통계팀장은 "지난해 수익성·성장성 개선이 대기업이나 반도체 중심의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이뤄졌다"면서 "우량하지 않은 중소기업 등의 수익성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수 비중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자보상비율 500% 이상 기업 비율은 2021년 38.2%에서 점차 줄어 지난해 29.4%까지 추락했다.

영업적자에 이른 이자보상비율이 0% 미만인 기업 비율은 33.9%로 전년(33.7%)보다 소폭 올랐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