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투자 늘고…반도체 호황 수출 증가세
이미지 확대보기한은이 2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3분기 국내 실질 GDP는 전분기 대비 1.2% 증가했다.
성장률 1.2%는 한은이 지난 8월 발표한 경제 전망에서 예측한 3분기 성장률(1.1%) 대비 0.1%포인트(P) 높은 수준이다. 또한 지난해 1분기 기록했던 ‘깜짝 성장(1.2%)’과 같은 수준으로 1년 6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분기별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깜짝 성장 이후 2분기(-0.2%) 역성장했고, 이후 3분기와 4분기 모두 0.1% 성장에 그쳤다. 올해 들어서는 1분기(-0.2%) 또 역성장했다가 2분기 0.7%로 반등했다.
성장률은 소비가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소비의 성장률 기여도를 보면 민간소비는 0.6%P, 정부소비는 0.2%P를 나타냈다. 민간과 정부의 소비가 3분기 성장률을 0.8%P나 끌어올린 셈이다.
투자 부문은 설비와 건설이 정반대의 흐름을 보였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를 중심으로 2.4% 늘었으나,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0.1% 감소하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에 소비와 투자를 종합한 내수의 성장률 기여도는 1.1%P로 2분기 0.4%에서 크게 뛰었다.
반도체 호황에 따른 수출 증가세도 깜짝 성장에 기여했다. 3분기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 등이 늘어 1.5% 증가했다. 수입은 기계 및 장비,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1.3% 늘었다. 수출과 수입이 비교적 고르게 증가하면서 순수출의 성장률 기여도는 0.1%P로 집계됐다.
3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높아지면서 올해 연간 성장률 1%대 달성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한은이 8월 전망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은 0.9%였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주요 해외 IB 8곳이 제시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평균 1%였다. UBS와 골드만삭스가 1.2%, 바클리가 1.1%를 예상했고, 나머지 IB들은 1%와 0.9%의 예상치를 내놨다.
4분기 0.4%의 성장률을 기록할 경우 올해 연간 성장률이 1%대 턱걸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은은 4분기 성장률은 0.2%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