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스테이블코인’ 결제 생태계 위협…카드사, 공동대응 모색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연합뉴스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 논의가 속도를 내자, 지급결제 시장의 기존 플레이어인 카드업계가 위기의식을 갖고 본격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TF(Task Force) 구성은 물론, 관련 상표권 선점 경쟁까지 펼치며 발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여신금융협회와 8개 전업 카드사는 다음 주 중 스테이블코인 대응을 위한 TF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이번 TF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가 카드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카드사가 관련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전략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출 전망이다.

스테이블코인이 활성화될 경우, 소비자와 상점 간 직접 결제가 가능해지면서 기존 카드 결제망이나 PG사(전자지급결제대행)의 역할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카드사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TF에서는 나아가 금융당국에 카드사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업무 참여 허용을 건의할 계획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카드사는 여신전문금융업법상 명시된 업무 외의 활동이 제한되므로, 스테이블코인 운영을 부수업무 또는 겸영업 항목에 추가하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상표권 출원 경쟁도 가속화되고 있다. 롯데카드는 지난 18일 원빗, 케이토큰, 로카머니 등 한글 기반 브랜드명 12건과, WONBIT, KTOKEN, LOCAMONEY 등 티커 24건을 포함해 총 36건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을 출원했다.

이보다 앞서 신한카드는 지난 6월 말 'SHCw'와 'SKRW' 등을 포함한 8건의 상표권을 카드사 중 가장 먼저 출원했으며, KB국민카드는 KBCSTB 등 35건, 우리카드도 STBWC 등 9건의 상표를 신청한 바 있다.

여신업계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제도나 방향이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만큼, 위협보다는 다양한 사업 기회를 염두에 두고 가능성을 열어두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