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가 쉽게 호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4월에 다시 PF발 위기가 불거질 수 있다는 ‘4월 위기설’이 다시 나오고 있다.
연초 유동성 랠리가 종료되며 자금 수급이 타이트해진 상황에서 부동산 시장 침체가 계속되고 있다. 또 시공능력평가 순위 100위권의 중견 건설사들도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한데 이어 저축은행 업계가 지난해 PF 충당금 등을 이유로 9년만에 처음으로 5000억원대 순손실 등 악재가 연속되고 있다.
이와관련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4월에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단언한다"며 위기설을 차단했다.
22일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135조6000억원으로 지난해(130조3000억원)보다 5조3000억원이 늘었다. 지난해 3분기 말과 비교하면 1조4000억원이 증가했다. 다만 이는 금융 당국이 직접 감독하는 6개 금융업권 기준으로, 금융권에서는 새마을금고와 상호금융 등 기타 주체를 포함할 시 부동산PF 대출 잔액이 200조원까지 늘 것으로 보고있다.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2.70%로 전년 말보다 1.51%포인트, 전분기 말(2.42%) 보다는 0.28%포인트가 증가했다. 특히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전년 대비 4.89%포인트 급등한 6.94%를 기록해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금융당국은 4월 위기설에 대해 “상반기 내에 (부동산 PF가) 시스템 리스크 요인으로 작동할 만한 문제,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극히 낮다”며 일축했지만 위기 신호가 계속되며 시장 우려는 가라앉지 않고 있다.
금융계에서는 당국과 시장이 모두 위기를 인지하고 있는 만큼 위기가 당장 4월에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의견이 나온다. 다만 수차례 위기를 겪으며 주체와 리스크가 분산된 만큼 오히려 PF 후유증이 장기화되고 시장 예측 가능성도 떨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전 금융위기 이후 PF 참여 주체가 확장된 만큼 위험도는 낮아졌지만 참여자가 많아져 부실이 표면화하는 경로도 복잡해졌다는 뜻이다.
삼성증권 이경자 연구원은 “취약해진 시장 펀더멘털 고려 시 예측하지 못한 곳에서 부실이 나타날 리스크는 상존한다”고 밝혔다. 또 2024년은 2021~2022년 착공한 현장이 완공되는 단계로, 현재까지 브릿지론에 국한되었던 부동상 PF 리스크가 올해 본 PF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준공 후 미분양이 전년 대비 50% 이상 늘어나는 등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본격적인 분양시기가 다가오면 대전, 부산 등의 지방 중심으로 PF 위기가 확대될 수 있다. 특히 본 PF 규모는 브릿지론 PF보다 훨씬 크고 금리·인건비·원자잿값이 동시에 급등한 만큼 이 또한 해결에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한편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건설업계 '4월 위기설' 관련 "4월에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단언한다"고 선을 그었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