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카드사들은 최근 신차를 구매할 때 제공하는 카드 캐시백 혜택을 축소하고 있는 추세다.
신한카드는 지난 9월 말 기준 오프라인에서 일시불로 자동차를 구매했을 때 캐시백을 1.0% 지급했다가 10월 말 1.0%, 11월 말에는 0.6%로 축소했다.
삼성카드는 9월 말 1.0%에서 11월 말 0.7%로, KB국민카드는 0.9%에서 0.7%로 축소했다. 롯데카드는 1.0%에서 0.5%로 캐시백을 줄였다.
다만 현대카드(0.8%), 우리카드(1.0%), 하나카드(1.1%)는 이 기간 캐시백을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
반면 자동차 할부금융 금리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자동차 할부를 취급하는 6개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하나·롯데·우리카드)의 할부금리(신형 그랜저 구매 시 30% 현금·36개월 할부 기준)는 이달 초 기준 연 5.2~8.7%다.
3개월 전과 비교하면 신한카드 상단은 6.3%에서 6.5%로, 하단은 5.9%에서 6.1%로 올랐다. 삼성카드는 하단이 6.3에서 6.9%로 상승했다.
카드업계는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다 보니 비용 절감을 위해 소비자 혜택을 축소할 수 밖에 업다는 입장이다.
카드사들은 신차 구매 캐시백 혜택을 축소하는 것 외에도 수익이 나지 않은 여타 혜택을 줄줄이 줄이고 있다. 현재 KB국민카드, 신한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등은 세금·4대 보험 납부에 대한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고객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던 이른바 ‘알짜 카드’들도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잇따라 단종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단종된 신용‧체크카드 수는 281개(신용 247개‧체크 34개)다. 협회가 카드 단종 수를 취합한 2017년 이래 가장 많은 수치다. 2021년에는 209개, 지난해에는 116개의 알짜카드들이 단종됐다.
반면 고가의 연회비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프리미엄 카드’는 앞다퉈 출시하고 있다. 우리카드는 최근 글로벌 호텔체인 그룹 아코르와 제휴해 ‘올 우리카드 인피니트’와 ‘올 우리카드 프리미엄’을 출시했다. 삼성카드도 올해 3월 비자·마스터카드와의 협업으로 ‘THE iD.(디아이디)’ 카드를 출시했으며, KB국민카드는 6월 프리미엄 라인업 ‘헤리티지 익스클루시브’, ‘헤리티지 리저브’ 카드를 선보인 바 있다.
카드사들은 건전성 관리와 수익성 확보를 위해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들이 업황 악화에 대비해 고객 혜택 축소에 대비하고 있는 모양새”라며 “프리미엄 카드의 경우 일반 상품 대비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 카드사들이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손규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bal4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