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푸틴과 회담 결렬 땐 인도에 추가 관세 상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평화회담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인도에 대한 ‘2차 관세’를 추가로 올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14일(이하 현지시각) BBC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안에 동의하지 않으면 가혹한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고,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은 이 같은 조치의 실현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러시아에 대한 압박 수단으로 러시아와 거래하는 제3국을 겨냥한 2차 제재와 관세를 활용하고 있다.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와 무기 수입 비중이 크게 늘어난 대표 사례로 푸틴과의 회담이 결렬될 경우 인도가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을 수 있는 국가로 꼽힌다.

베선트 장관은 “러시아산 원유를 사는 인도인들에게 우리는 2차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며 “일이 잘 풀리지 않으면 제재나 2차 관세가 더 올라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을 만난다”면서 “유럽은 옆에서 뭐라 말만 하지 말고 우리와 함께 2차 제재에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두 정상은 15일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와 무기를 수입한다는 이유로 기존 25% 관세에 25%를 추가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로 인도에 대한 대미 관세율은 50%로 오르며 발효일은 27일이다. 전문가들은 이 조치가 사실상 양국 간 교역 중단 수준의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 무역 협상과 경제 영향


미국과 인도는 수개월째 무역 협상을 이어왔지만 농업·유제품 관세 완화 문제에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양국 협상단은 오는 25일 뉴델리에서 다시 만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관세 남용국’이라며 대인도 상품수지 적자가 450억 달러(약 62조3700억 원)에 이른다고 비판해 왔다.

인도는 2021년 3%에 불과하던 러시아산 원유 비중을 2024년 35~40%까지 늘렸다. 인도 정부는 값싼 원유 구매가 서민 생활비 부담을 줄이는 데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미국 정부는 이를 러시아 제재 회피로 간주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50%의 관세가 고착되면 인도의 섬유·보석 등 수출 산업이 큰 타격을 받고 경제성장률이 최대 0.5%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