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마크 잔디, “美 경제, 침체 직전” 경고…트럼프 관세·이민 억제 원인 지적

마크 잔디 무디스애널리틱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사진=A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마크 잔디 무디스애널리틱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사진=AP/연합뉴스
미국 경제가 침체 직전에 놓였다는 경고가 미국의 대표적인 거시경제 분석가에게서 나왔다.
소비는 정체되고, 제조업과 건설업은 위축되는 가운데 고용도 급격히 둔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이민 규제가 경제에 광범위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은 마크 잔디 무디스애널리틱스 수석 이코노미스트의 분석을 인용해 “미국 경제가 침체의 벼랑 끝에 있다”고 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잔디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X에 올린 글에서 “소비 지출은 정체되고, 건설과 제조업은 수축하고 있으며, 고용도 감소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목표치를 웃도는 상황에서 연방준비제도도 쉽게 대응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 고용 둔화 현실화…“이 정도면 경기침체 신호”


미국 노동부가 지난 2일 발표한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7월 기준 신규 고용은 7만3000명에 그쳐 시장 예상치인 10만 명을 크게 밑돌았다. 특히 5월 수치는 당초 14만4000명에서 1만9000명으로, 6월은 14만7000명에서 1만4000명으로 각각 대폭 하향 조정됐다. 이를 반영한 최근 3개월 평균 고용 증가폭은 3만5000명에 불과하다.

잔디는 “경제가 방향을 전환할 시기에는 통계 수치가 큰 폭으로 수정되는 일이 종종 있다”면서 “지금이 바로 그 국면”이라고 지적했다.

JP모건체이스의 이코노미스트들도 같은 날 낸 보고서에서 “보건·교육 분야를 제외한 민간 부문 고용 증가가 멈췄다”면서 “최근과 같은 노동 수요 급감은 경기침체의 전조”라고 평가했다. 이들은 “기업들은 일시적 성장 둔화를 감안해 고용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금처럼 고용 자체가 줄면 본격적인 구조조정이 임박했다는 신호”라고 덧붙였다.

◇ “트럼프 정책이 침체 원인”…타깃은 관세와 이민 억제


잔디는 미국 경제가 빠르게 위축되는 원인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와 강경한 이민 정책”을 꼽았다.

그는 “관세는 미국 기업의 수익과 가계의 구매력을 동시에 갉아먹고 있다”면서 “이민자 노동력 감소는 경제 전체의 규모를 줄이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외국인 노동자는 지난 6개월간 120만 명 가까이 줄었으며, 전체 노동참여율도 하락한 상태다. 이에 따라 실업률은 여전히 4.0~4.2%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이는 실질적인 노동 공급 축소로 인한 착시라는 설명이다.
잔디는 “경제 전반에 걸친 고용 동결, 특히 신규 졸업자 채용이 줄고 있다”면서 “이제는 실업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중립 고용 증가폭’ 자체가 낮아졌다”고 말했다.

◇ 연준의 대응 여력도 제한…인플레 목표치 상회


물가 역시 경기 회복에 제동을 걸고 있다. 최근 발표된 개인소비지출(PCE) 보고서에 따르면 6월 기준 근원 인플레이션은 2.8%로,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여전히 웃돌고 있다. 이에 따라 연준은 기준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당분간 통화정책 완화를 기대하긴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건설 지표도 악화됐다. 6월 신규 단독주택 건설 지출은 전월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7월 기준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하락해 제조업 경기의 추가 위축을 시사했다.

한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국내총생산(GDP) 실시간 추적 모델은 3분기 성장률을 2.1%로 예측하고 있으나 2분기 3.0% 대비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