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미국, 일본산 자동차 관세 15%로 인하…토요타 등 관련주 일제히 급등

트럼프 "역사상 최대 규모 합의"…일본, 美 농산물 시장 추가 개방
한국·유럽 업계는 경쟁력 저하 우려…'전기차 전환' 등 장기 과제는 여전
미국 정부가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15%로 인하하는 무역 협정에 합의했다. 이번 조치로 도요타 등 일본 자동차 업계의 수혜가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과 유럽 등 경쟁국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정부가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15%로 인하하는 무역 협정에 합의했다. 이번 조치로 도요타 등 일본 자동차 업계의 수혜가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과 유럽 등 경쟁국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정부가 일본산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대폭 인하한다고 발표하자, 일본 자동차 관련주가 일제히 급등하는 등 닛케이 225 주가지수가 상승 마감했다. 이번 조치로 미국 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을 일부 회복하고 단기 실적도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를 큰 폭으로 끌어올렸다.
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미일 무역협정 소식이 전해지자 일본 간판 자동차 기업 토요타, 혼다 등 주요 종목의 주가가 폭등했다. 일본 최대 자동차 기업인 토요타의 주가는 14.34%치솟았고, 혼다는 11.15% 급등했다. 닛산(8.28%), 마쓰다 자동차(17.77%), 미쓰비시 자동차(13.03%) 등도 일제히 폭등했다.

이는 지난 4월부터ㅏ 일본사 자동차에 부과된 27.5%의 관세율이 15%로 삭감될 것이라는 소식에 투자자들이 몰린 결과로 받아들여졌다.

도쿄증권거래소의 닛케이 225 평균주가는 이날 오전 10시30분 4만721.28엔으로 전날 종가에 비해 2.38%(946.36엔)을 기록했다가 오후장 들어 상승폭을 키워 전날에 비해 3.51%(1396.40엔) 오른 4만1171.32엔으로 마감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참의원 선거후 '스피드 합의'에 투자자들은 단번에 리스크 선호 자세를 강하게 보였고 특히 자동차 주식이 급등했다"면서 "앞으로 주가 상승 트렌드가 강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번 관세 인하 조치는 한국 자동차 업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현대차 주가가 6% 이상 함께 올랐으며, 기아도 0.2% 오름세를 보였다. 다만 인하된 관세가 일본에만 한정된다면 한국과 유럽 자동차 업계는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 '25% 관세 장벽'에 신음하던 日 자동차 업계 '숨통'


일본 공영방송 NHK 등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기존 25% 관세를 우선 절반인 12.5%로 낮춘 뒤, 여기에 '최혜국 대우(MFN)' 기본 관세 2.5%를 더해 최종 15%로 정했다. 이번 조치는 2024년 기준 일본의 대미 전체 수출에서 28.3%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인 자동차 업계의 숨통을 틔워줬다. 실제로 지난 4월 미국이 25% 고율 관세를 시행한 뒤 일본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5월과 6월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4.7%, 26.7% 줄어 타격이 컸다.

로저스 인베스트먼트 어드바이저스의 에드 로저스 최고경영자(CEO)는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에는 매우 좋은 소식"이라면서도 "중국과 한국 자동차와의 국제 경쟁 심화와 전기차 전환이라는 중장기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다만 "이번 조치가 미국 관세 위험을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만들 것이라는 매우 필요한 단기 확신을 준다"고 덧붙였다.

◇ 자동차 주고 농산물 받은 '미-일 대타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합의를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일본과의 무역 합의"라고 자평하고 "일본이 미국에 5500억 달러(약 758조 원)를 투자하고 미국이 수익의 90%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일본이 자동차, 트럭, 쌀 등 농산물을 포함한 미국 상품에 시장을 추가로 열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이번 합의는 전통적인 자동차와 농산물 분야에서 양국이 '주고받기'를 한 본격적인 대타협으로 풀이된다. 미국에서는 일본차 가격이 내려가 소비자들이 혜택을 보고, 농축산물 업계는 대일 수출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일본 자동차 업계는 단기 호재에도 미국의 추가 시장 개방 요구와 국제 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에 계속해서 맞서야 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