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100개국에 최대 70% 관세"...9일 마감일 최후통첩

베트남 20% 합의 후 7일부터 관세율 서한 발송, 1638조 원 적자 해소 목표
대부분 국가들은 최소 10% 관세를 적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는 상당수 국가가 기존에 적용받던 2.5% 관세의 4배 수준이다 사진=EPA/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대부분 국가들은 최소 10% 관세를 적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는 상당수 국가가 기존에 적용받던 2.5% 관세의 4배 수준이다 사진=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9일을 마감일로 100여 개국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오는 7일부터 각국에 관세율을 통보하는 서한을 보낸다고 지난 4(현지시각)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베트남과는 20% 관세율로 먼저 합의에 이르렀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2일 발표한 관세 정책을 통해 12000억 달러(1638조 원) 규모의 무역적자 해소와 비관세 장벽 철폐를 목표로 세계 무역 질서 재편에 나섰다. 당초 90일간 90개국과 협상을 끝낸다는 계획은 차질을 빚고 있지만, 오는 9일 마감일을 앞두고 일부 국가와는 예비 합의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베트남 20% 관세 합의...중국 우회수출 차단 강화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일 베트남과 20% 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당초 베트남이 적용받던 10% 관세의 2배 수준이지만, 지난 42일 위협했던 46% 관세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행정부는 또한 중국이 베트남을 통해 무역 제재를 우회하는 것을 막기 위해 '경유 상품'에는 40%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에 앞서 트럼프 행정부가 체결한 예비 합의는 영국과의 협정이 유일했다. 영국과는 10% 관세를 유지하는 선에서 합의가 이뤄졌다.

닐 브래들리 미국상공회의소 최고정책책임자는 "영국과의 협정이 기본 틀 역할을 할 것"이라며 "합의 가능한 부분에서는 합의하고, 미완료 사안들은 1단계 협정을 문서화하면서 계속 협상을 이어가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큰 무역 상대국 중에서는 인도, 캐나다, 한국, 유럽연합(EU) 등이 기본 협정 체결 가능성이 높다고 거론되고 있다. 이들 국가와의 합의에는 미국산 천연가스, 농산물, 무기 구매 약속과 특정 시장의 미국 기업 진출 허용 등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업계는 전했다.

반면 일본은 협상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표 사례로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주 일본을 "응석받이"라고 표현하며 미국산 쌀 수입 거부를 비판했다. 그는 일본에 당초 위협했던 24%보다 높은 35%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55% 관세 유지...9월 시진핑 방미 초청 변수

대부분 국가들은 최소 10% 관세를 적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는 상당수 국가가 기존에 적용받던 2.5% 관세의 4배 수준이다.

헨리에타 트레이즈 베다파트너스 경제정책연구실장은 "베트남 협상이 끝난 상황에서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등은 경유 수출 우려 때문에 15~20% 수준의 높은 관세를 적용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55%라는 가장 높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최근 일시 휴전이 다시 시작됐지만 구조 문제들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행정부는 여전히 중국 기업들에 대한 판매 제한 목록을 갖고 있으며, 수출 통제 강화 계획도 추진 중이다.
행정부 내부 사정에 밝은 소식통은 "이러한 조치들 중 어느 것이라도 중국의 대응 조치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양측 모두 공급망 무기화에 신중해야 하지만, 미국이 중국의 보복 여력을 가볍게 볼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트럼프 대통령을 오는 9월 방중 초청한 상황에서 추가 긴장 완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이 최근 펜타닐 전구물질을 불법으로 다시 분류한 조치는 미국이 펜타닐 문제를 이유로 부과한 20% 관세 철회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마크 린스콧 아시아그룹 선임고문은 "협상가들 입장에서는 232(국가안보 조항) 관련 확실한 보장 없이 양보하는 것을 매우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안보를 이유로 한 업종별 관세는 알루미늄, 철강, 자동차에 이미 적용되고 있으며, 의약품, 반도체, 목재 등에 추가 관세 부과가 예정돼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도 S&P500지수는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행정부가 여러 차례 강경 조치를 철회한 사례를 근거로 무역 위험을 낮게 평가하는 분위기라고 월가에서는 분석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